영아 외사시: 두 판 사이의 차이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편집 요약 없음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사시}}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1세 이전에 발견되고 35 PD 이상의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ref>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f>.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사시}}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1세 이전에 발견되고 35 PD 이상의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ref>김용민 등, 항상 외사시를 보이는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1316-2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6260 ㅇ연결]</ref>,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ref>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f>.
== 역학 ==
== 역학 ==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2022년 9월 18일 (일) 03:43 판

영아 외사시 (infantile exotropia)[1] 는 생후 6개월 이전에 발생하여 1세 이전에 발견되고 35 PD 이상의 비교적 크고 안정된 사시각을 특징으로 하며[2], 영아 사시 증후군 (infantile strabismus complex) 라고도 한다[3].

역학

30,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드문 질환이다. Biglan 등은 일차 영아 외사시의 유병률은 0.1%, 영아 내사시는 3.6%로 영아 외사시가 영아 내사시보다 드물게 나타난다고 하였다.

유전

유전 양식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Brodsky와 Fritz는 상염색체 우성 또는 다인자 유전으로 발생한 영아 외사시 3예를 보고하였다.

관련 질환

1세 이전에 나타나는 외사시는 90% 이상에서 두개 안면 증후군, 미숙아, 뇌성마비, 동안신경 마비, Prader-Willi 증후군 등과 동반되어 이차적으로 나타난다.

분류

  • 일차 영아 외사시 : 건강한 환아에서 발생한다.
  • 이차 영아 외사시 : 전신적, 신경학적 문제가 동반되어 있다.

임상 소견

해리 수직 편위 또는 사근 기능 항진은 동반되지만 눈떨림이 동반되는 경우는 적다.

수술적 치료

불변 영아 외사시는 간헐 영아 외사시와 마찬가지로 수술적 치료를 하며, 수술 시기는 생후 24개월 이전에 하는 것이 융합 능력, 입체시 발달에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후 및 합병증

외사시가 성공적으로 교정되더라도 만족스러운 양안시 기능을 얻는 경우는 드물며, 재발이 흔하여 지속적인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참고

  1. 최신 사시학 5판, 2024 (한국 사시 소사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김용민 등, 항상 외사시를 보이는 영아 외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06;47:1316-22 ㅇ연결
  3. Kraft SP. Infantile exotropia. In : Rosenbaum AL, Santiago AP, eds. Clinical Strabismus Management : Principles and surgical technique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9:17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