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점 망막염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21일 (월) 15:59 판

흰점 망막염 (retinitis puntata albescens)[1] 은 드물게 볼 수 있는 망막 질환으로서 1882년 Mooren[2]이 처음 보고한 이래 우리나라에서도 몇 차례 보고된 바가 있다[3][4][5].

임상 소견

안저 전반에 걸쳐 다양한 크기의 희고 노란 반점들이 관찰되어 마치 흰점 망막병증과 유사한 소견을 보인다.

검사 및 진단

  • 망막 전위도 : 평편 (flat ERG) 소견을 보이며, 암순응에서도 호전 소견이 없다.
  • 시야 검사 : 주변부 시야의 협착을 보인다.

감별 진단

흰점 망막병증과는 망막 전위도 및 시야 검사 소견, 그리고 환자 증상 및 안저 소견이 점차 진행되는 양상을 보여 감별할 수 있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Mooren A. Cited by Elwyn H. Disease of the Retina, 2nd ed., New York, The Blakiston Company, p.376~378, 1953.
  3. 정해륜 외, 백점상 망막염의 1가족례, 대한안과학회지, 제 9권 1호. p.29~31. 1968.
  4. 박영관. 백점상 망막염의 1예. 대한안과학회지, 제 16권 2호. p.135~138. 1975.
  5. 김용규. 백점상 망막염. 대한안과학회지. 제 17권 3호. p.347~351.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