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락막 신생혈관
맥락막 신생혈관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1]
발생 기전
정확한 발생 기전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능한 기전들이 제시되었다[2].
염증, 산화 스트레스, 저산소 상태 등이 지속되면 RPE 안에서 hypoxia-inducible factor-1 의 발현이 증가하는데, 이것은 VEGF 등 많은 혈관 신생 인자들의 공통된 전사 인자로서, RPE에서 이러한 인자들의 생성과 분비를 증가시킨다.[3] RPE에서 분비되는 VEGF와 PDGF는 맥락막으로부터 RPE 아래 공간으로의 신생혈관 침투를 유도할 수 있다[4][5]. 산화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지질 과산화물도 TNF-α, VEGF, PDGF의 발현을 증가시켜 신생혈관을 유도할 수 있다[6].
또한, RPE는 대식세포 등 염증세포를 끌어들여 혈관 신생을 더욱 촉진한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AMD 환자에서는 브루크막의 탄력층이 같은 나이의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얇아져 있고, 연결성이 깨져 있는데, 이러한 구조 변화가 CNV의 브루크막 침투를 용이하게 할 것으로 생각된다[7]. 보통 브루크막의 안쪽까지 침투한 CNV는 RPE와 브루크막 사이에서 옆으로 자라게 되고, RPE의 연결성이 깨진 곳에서 망막하 공간으로 나오게 된다<ref name="r1">.
분류
- 전형 (classic) 맥락막 신생 혈관 : 형광 초기에 경계가 분명한 과형광이 나타나며, 중기, 후기로 가면서 과형광이 증가하여 후기에는 초기에 나타난 부위의 경계를 넘어서는 형광 물질의 누출이 일어난다. 초기에 명확한 경계의 과형광을 보일 수 있는 다른 병변은 장액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와 망막 색소 상피 파열 이며 두 질환 모두 후기에서 초기에 보이던 과형광의 경계를 넘는 누출이 관찰되지 않는다.
- 잠복 (occult) 맥락막 신생 혈관 : 전형 맥락막 신생 혈관과 달리 경계가 불분명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삼출성 나이 관련 황반 변성의 85% 를 차지한다.
- 제 1형 : 망막 색소 상피의 불규칙적인 융기로 관찰되는 섬유혈관성 망막 색소 상피 박리이다.
- 제 2형 : 후기의 누출을 설명할 수 있는 초기, 중기의 명확한 전형 맥락막 신생 혈관이나 제 1형 잠복 맥락막 신생 혈관이 관찰되지 않는다.
검사 소견
안저 자가 형광
황반 변성의 초기 신생 혈관에서는 형광 안저에서 고형광을 보이는 자리에서 정상 자가 형광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는 병의 초기에는 망막 색소 상피 세포가 생존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반면 진행된 신행 혈관의 경우 자가 형광이 감소하여 시수용체가 소실되었거나 멜라닌이 증가한 반흔 (scar) 형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자가 형광 사진에서 비정상으로 보이는 범위가 형광 안저 촬영에서 보이는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병변 주변의 증가된 자가 형광은 맥락막 신생 혈관 주변의 망막 색소 상피 세포의 증식을 암시한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Brady CJ et al. Neovascular (exudative or 'wet') AMD. In: Schachat A, ed. Ryans Retina, 6th ed. Edinburgh: Elsevier, 2017; v.2.
- ↑ Forooghian F et al. Hypoxia-inducible factor expression in human RPE cells. BJO. 2007 Oct;91(10):1406-10. 연결
- ↑ Ambati J et al. AMD : et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urv Ophthalmol. 2003 May-Jun;48(3):257-93. 연결
- ↑ Campochiaro PA et al. PDGF is an autocrine growth stimulator in RPE cells. J Cell Sci. 1994 Sep;107 (Pt 9):2459-69. 연결
- ↑ Armstrong D et al. Lipid hydroperoxide stimulates retinal NV in rabbit retina through expression of TNF-α, VEGF and PDGF. Angiogenesis. 1998;2(1):93-104. 연결
- ↑ Chong NH et al. Decreased thickness and integrity of the macular elastic layer of BM correspond to the distribution of lesions a/w AMD. Am J Pathol. 2005 Jan;166(1):241-51.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