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삭 증후군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4일 (월) 05:29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시삭 증후군 (optic tract syndrome, OTS)[1] 은 한쪽 시삭에 국한된 형성저하 때문에 발생한다[2].

병인

선천성인 경우 한 측의 시삭의 장애로 발생한다고 생각되나 정확한 병리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가측 무릎체나 후두엽의 국소적인 손상이나 허혈에 의한 역행성 축삭 변성이 원인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외에도 외상이나 두개인두종 및 뇌하수체 선종과 같은 종양, 동맥류 등의 원인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3].

증상

병변 반대측의 불일치 동측 반맹, 반대측 눈의 구심 동공 운동 장애, 역행성 축삭 변성 (retrograde axonal degeneration) 에 따른 시신경 위축이 특징적이다.

진단

뇌의 MRI를 통해 확진을 내릴 수 있지만 특징적인 임상 소견을 간과하기 쉽고, 일반적으로 MRI에서 병변이 두드러지지 않으며 해상력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4].

참고

  1. 신경안과학 제 4판, 2022 (장봉린 외, 한국 신경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2. Margo CE et al. Congenital OTS. Arch Ophthalmol. 1991 Aug;109(8):1120-2. 연결
  3. Savino PJ et al. OTS. A review of 21 patients. Arch Ophthalmol. 1978 Apr;96(4):656-63. 연결
  4. Murphy MA et al. Congenital OTS : MRI and SLO findings. J Neuroophthalmol. 1997 Dec;17(4):226-30.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