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기계적 망막 손상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1일 (금) 03:04 판 (→‎경과)

급성 광기계적 망막 손상 (photomechanical retinal damage)[1] 의 가장 흔한 소견은 망막 출혈 또는 열공 발생이다.

기전[2]

  • 광파괴 (photodisruption) : Nd:YAG 레이저 후낭 절개술과 층판 각막 절제술에 사용되며,근적외 레이저 에너지가 타겟이 되는 분자를 이온화하여 플라즈마를 형성하고,급속히 팽 창된 충격파가 조직을 절개하는 것이다.
  • 광조각화 (photofragmentation) : 엑시머 레이저 광굴절 각막 절개 시 사용되며, 자외선 레이저 에너지가 각막표면 분자의 결합을 파괴하고, 잔여 에너지는 분자 조각들을 휘발시키는 것이다.
  • 광기화 (photovaporization) : 홀뮴 (holmium) 레이저 공막 절개와 에르븀(erbium) 레이저 수정 체융해시 사용되는 기전으로 빠른 물의 기화로 인한 팽창 이 조직을 파내는 작용을 말한다.

우발적으로 발생한 광기계적 망막손상의 대부분은 매우 짧은 시간 (10-13~10-6초) 동안의 레이저 노출에 의해 발생한다. 매우 높은 복사 조도의 레01저광이 망막에 닿을 경우 조직이 가열되고 팽창하면서 즉각적인 열기계적 맥락망막 뒤틀림과 출혈이 발생한다. 광기화 작용은 이보다 훨씬 낮은 복사 조도의 빛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광기계적 손상이 일어날영우, 대부분의 환자는 강한 섬광을 본 후 시력이 소실된다. 사고 발생 시 드물게는 '팡'하는 소리 및 일시적 통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사례

세계적으로 매년 여러 차례 보고되고 있다[3][4]. 군사 연구소[5] 및 실험실 등에서 발생하는 사고가 대부분을 차지하나, Nd:YAG 레이저낭 절개술에서 잘못된 레이저 세팅을 한 경우[6], 미용 레이저 시술[7] 및 레이저 제모 시술 과정에서 보호 장비 미착용으로 인한 사고로 망막 또는 황반부의 손상을 받은 경우[8]도 보고된 바 있다.

예방

눈 보호구를 반드 시 착용하고, 철저한 안전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수술용 Q- switched 레이저 시스템과 펨토초 레이저 시스템 중에는 이런 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체적인 안전 장치가 내장 돼 있는 경우도 있다.

경과

손상 위치와 맥락망막 파괴 정도, 출혈에 따라 초기 시각 상실 정도가 달라진다. 출혈은 유리체막하, 망막하, RPE하 공간으로 퍼질 수 있다. 맥락망막에 흉터가 생기고 변형되기도 한다. 시력은 시간이 감에 따라 호전될 수 있으며, 손상이 중심 오목을 침범하지 않고 심각하지 않으면 예후는 좋다. 손상 후 황반 구멍[9][10]이나 이차적인 맥락막 신생혈관[11]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참고

  1.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2. Mainster MA. Classification of ophthalmic photosurgery. Lasers Light Ophthalmol 1994;6:65-7.
  3. Barkana Y et al. Laser eye injuries. Surv Ophthalmol. 2000 May-Jun;44(6):459-78. 연결
  4. Thach AB et al. Accidental Nd:YAG laser injuries to the macula. AJO. 1995 Jun;119(6):767-73. 연결
  5. Harris MD et al. Laser eye injuries in military occupations. Aviat Space Environ Med. 2003 Sep;74(9):947-52. 연결
  6. Liyanage SE et al. Macular burns resulting from the accidental use of SLT mode during a laser capsulotomy. BJO. 2014 Jan;98(1):141-2. 연결
  7. Chen SN et al. A case of accidental retinal injury by cosmetic laser. Eye (Lond). 2014 Jul;28(7):906-7. 연결
  8. Kontadakis GA et al. Macular injury with rapid onset of CNV from laser epilation. JAMA Ophthalmol. 2015 Apr;133(4):488-90. 연결
  9. Cho A et al. FS laser-induced MH followed by SD-OCT. Clin Exp Ophthalmol. 2013 Nov;41(8):812-5. 연결
  10. Ciulla TA et al. Surgical treatment of a MH secondary to accidental laser burn. Arch Ophthalmol. 1997 Jul;115(7):929-30. 연결
  11. Ying HS et al. Accidental Nd:YAG laser-induced CNV. Lasers Surg Med. 2008 Apr;40(4):240-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