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균 안내염
진균 안내염 (fungal endophthalmitis)
자연계에는 많은 종류의 진균이 있으나 건강한 인체에 감염을 일으키는 경우는 많지 않다.
역학
이전에 비해 근래 진균 감염증이 증가하였는데, 면역 억제제나 부신피질호르몬제 사용으로 인한 인체 방어기전 약화, 장기간의 항암 치료와 혈관 주사를 통한 영양 공급이나 카테터 사용, 장기간의 항생제 사용 등이 진균의 감염 기회를 증가시켰고 각종 소모성 질환자의 수명 연장, HIV 감염 환자의 증가, 마약 사용자의 증가, 장기 이식의 활성화, 그리고 미숙아 출산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
- 외인성 진균 안내염 : 눈 수술이나 외상 등 외부에서 균이 침범하여 발생하며, Aspergillus나 Fusarium 같은 사상균이 흔하다.
- 내인성 진균 안내염
증상
초기 증상으로는 시력 감퇴와 날파리증, 눈부심이 나타나며 드물게 안구통을 호소하는 수도 있다. 초기 증상은 대개 심하지 않다.
임상 소견
안저 검사에서는 하나 혹은 다수의 우유빛 솜터 모양 덩어리가 보이고 그 주변에 비슷한 모양의 작은 덩어리가 몇 개 나타난다. 망막 출혈이 동반되기도 하는데 그럴 경우 피덩어리 속에 있는 염증 세포 덩어리가 마치 로트 반점(Roth spot)처럼 보이기도 한다. 염증이 유리체로 파급되면 유리체에 먼지 같은 부유물이 보이고 염증 세포가 뭉쳐지면 떠다니는 솜털 모양의 황백색 덩어리로 보인다. 가끔은 망막 아래 농양을 만드는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