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성 망막 질환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9일 (일) 14:51 판 (새 문서: '''유전성 망막 질환 (inherited retinal diseases)''' 은 유전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매우 이질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점진적인 시력 저하를 초래한다. 현재까지 270개 가량의 련된 유전자가 동정되었거나 위치가 확인되었다<ref>RetNet. Summaries of Genes and Loci Causing Retinal Diseases [Internet]. Houston (US): RetNet [https://web.sph.uth.edu/RetNet/sum-dis.htm?csrt=16946092037408442211#A-genes 연결]</ref> </r...)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유전성 망막 질환 (inherited retinal diseases) 은 유전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매우 이질적인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점진적인 시력 저하를 초래한다. 현재까지 270개 가량의 련된 유전자가 동정되었거나 위치가 확인되었다[1] </ref>.

역학

유병률은 대략 2,000명 중 1명으로 보고되고 있다[2].

유전 양상

기본적으로 멘델 유전 양상을 따르지만, 많은 경우 질환이 늦게 발현되거나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실제 가족력과 유전 양상을 확인하는 일은 때때로 더 복잡하다[3].

상염색체 우성 (AD)

상염색체 우성 유전은 상염색체에 존재하는 대립 유전자 돌연변이 한쪽만으로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AD 유전일 경우 대부분의 가족에서 질병이 여러 세대에 걸쳐 나타나게 된다. 남성과 여성에서 같은 비율로 발현되며, 자녀 중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50%이다. 망막 질환 중 상염색체우성 유전을 보이는 대표적인 질환은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과 같은 황반 질환이다[4].

다양한 발현도와 불완전한 침투도로 인해 AD 유전 양상을 다른 유전 양상과 혼동할 수 있다.

  • 다양한 발현도 : 같은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개체 간에도 질환 발현의 시기나 진행, 위중도가 다양할 수 있으며, 심지어 명백하게 다른 임상 양상을 나타내기도 하는 현상을 일컫는다[5][6][7]. 다양한 발현도로 인해 늦은 나이까지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다른 증상을 발현하여 아예 다른 질환으로 진단되는 가족 구성원이 있는 경우 유전 양상을 판단하기 어렵게 만든다.
  • 불완전한 침투도 또는 비침투도 (nonpenetration) :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환이 발현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한다. 불완전한 침투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망막 질환에는 상염색체 우성 망막 색소변성[8][9][10] 및 노른자 모양 황반 이상증[11]이 있다.

참고

  1. RetNet. Summaries of Genes and Loci Causing Retinal Diseases [Internet]. Houston (US): RetNet 연결
  2. Sohocki MM et al. Prevalence of mutations causing RP and other inherited retinopathies. Hum Mutat. 2001;17(1):42-51. 연결
  3. Daiger SP, Sullivan LS, Bowne SJ. Genetic mechanisms of retinal disease. In: Schachat A, ed. Ryans retina, 5th ed. Amsterdam: Elsevier, 2013.
  4. Brecher R et al. Adult vitelliform macular dystrophy. Eye (Lond). 1990;4 (Pt 1):210-5. 연결
  5. Weleber RG et al. Phenotypic variation including RP, pattern dystrophy, and fundus flavimaculatus in a single family with a deletion of codon 153 or 154 of the peripherin/RDS gene. Arch Ophthalmol. 1993 Nov;111(11):1531-42. 연결
  6. Sears JE et al. Splice site mutation in the peripherin/RDS gene a/w pattern dystrophy of the retina. AJO. 2001 Nov;132(5):693-9. 연결
  7. Wells J et al. Mutations in the human retinal degeneration slow (RDS) gene can cause either RP or macular dystrophy. Nat Genet. 1993 Mar;3(3):213-8. 연결
  8. Rivolta C et al. Variation in retinitis pigmentosa-11 (PRPF31 or RP11) gene expression betwee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patients w dominant RP11 mutations. Hum Mutat. 2006 Jul;27(7):644-53. 연결
  9. Sullivan LS et al. Genomic rearrangements of the PRPF31 gene account for 2.5% of AD RP. IOVS. 2006 Oct;47(10):4579-88. 연결
  10. Vithana EN et al. Expression of PRPF31 mRNA in patients w AD RP : a molecular clue for incomplete penetrance? IOVS. 2003 Oct;44(10):4204-9. 연결
  11. Garza-Garza LA et al. "Novel p.Tyr284Cys BEST1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of VMD in a family w incomplete penetrance". Ophthalmic Genet. 2020 Apr;41(2):183-188.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