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후 안내염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26일 (목) 01:22 판 (새 문서: <b>술후 안내염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b> 은 백내장 수술 후 드물게 발생하긴 하나, 일단 발생하면 굉장히 무서운 합병증을 초래한다. 만...)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술후 안내염 (postoperative endophthalmitis) 은 백내장 수술 후 드물게 발생하긴 하나, 일단 발생하면 굉장히 무서운 합병증을 초래한다. 만약 치료를 하지 않거나 치료 시작 시기가 늦어진다면 실명과 심각한 눈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일부에서는 안구 위축으로 진행하거나 안구 적출을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한다면 염증에 의한 눈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시력을 회복할 수 있다.

역학

발병율은 0.04~0.22% 이다. 다행히 소절개창을 통한 백내장 수술이 보편화되면서 1990년대 초 이후 발병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위험 요인

당뇨, 만성 알코올 중독, 수술 중 합병증이 있었던 경우, 절개 부위 합병증, 수정체 낭내 및 낭외 적출술, 수정체낭 파열, 수술 시 사용한 기구의 수와 사용 시간, 눈의 수술 받은 과거력, 유리체 소실 그리고 인공수정체의 종류 등이 있다. 최근에 Miller는 오른손잡이인 술자가 temporal approach로 좌안을 수술했을 경우 술후 안내염의 빈도가 증가하였다고 하면서 이는 이차적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두번째 절개창을 만드는 부위가 아래쪽 각막이기 때문이라는 흥미로운 결론을 발표하여, 아래쪽 절개 (inferior incision) 가 술후 안내염의 위험 요인으로 추가되었다.

원인균

세균 배양 결과 69.3% 에서 배양이 되었고 대부분의 경우 안표면에 존재하는 정상 세균총이었으며, 배양된 균 중에는 그람 양성 coagulase 음성 세균이 가장 많았다.

증상

침침함, 충혈, 통증은 술후 안내염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이다. EVS에 의하면, 우리의 직관적인 생각과는 다르게 침침과 충혈이 통증보다 더 많이 나타난다고 한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간의 중앙값은 술 후 6일째이고 대부분의 증상은 2주 이내에 나타났다. 그러나 22%나 되는 환자들이 술 후 2~6주에 증상을 처음 호소하였다.

임상 소견

전안부 검사 시 결막의 충혈과 결막 부종, 심한 전방 염증, 전방 축농, 구심성 동공 반사 소실, 안저 반사의 소실 등을 관찰할 수 있다. 원인균이 streptococci, clostridia, bacilli인 경우 각막 고리 모양 궤양 (corneal ring ulcer) 이 나타날 수 있으며, Clostridia 의 경우에는 드물게 전방에 기포가 보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