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상 검안경 검사
직상 검안경 검사 (direct ophthalmoscopy)[1] 은 안저 검사에서 가장 기본적이며 간단한 검사 방법이다.
원리
환자와 검사자가 모두 정시안인 경우에 환자의 안저에서 나온 광선이 눈 밖에서 평행이 되어 마주 보고 있는 검사자의 안저에 상이 맺히는 것이다. 검안경에 내장되어 있는 전구의 광선이 환자의 동공 하부에 맺히도록 렌즈와 프리즘 또는 반사경이 조합되어 있으며, 눈 안으로 들어간 광선이 동공 상부를 통해 검사자의 눈으로 들어와 약 15배 확대된 직립실상을 얻을 수 있다.
장점
70㎛의 비교적 뛰어난 해상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휴대하기 간편하다.
단점
단안으로 검사하기 때문에 입체시가 불가능하며, 매체에 혼탁이 있는 경우에 관찰하기 어렵고, 약 8~10도 범위의 안저만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검안경을 가능한 한 환자의 눈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여 관찰 범위를 넓힐 필요가 있다.
검사 방법
환자의 우안을 검사할 때는 검사자는 환자의 오른편에 서서 검사자의 우안으로 렌즈 회전반을 돌려가며 안저를 관찰한다. 이 때 환자의 좌안을 검사자 후방의 3~5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목표물을 주시하게 함으로써 안구의 움직임과 조절을 줄일 수 있다. 정시인 경우 렌즈 회전반이 -2~-3 디옵터일 때 안저가 잘 관찰된다. 환자가 근시미녀 렌즈 회전반을 마이너스 쪽(붉은 숫자)으로, 원시이면 플러스 쪽(푸른 숫자)으로 돌려야 한다.
시신경 유두에서부터 안저를 관찰하는데, 시신경 유두는 찾기 쉬울 뿐만 아니라 시세포가 없기 때문에 밝은 빛을 비추어도 동공이 심하게 수축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안저를 관찰할 때는 먼저 시신경 유두의 모양, 색깔, 유두 함몰, 함몰비, 정맥 박동 등을 관찰한 다음, 여기에서 주변부로 뻗어가는 망막 혈관을 따라 동정맥비, 동정맥 교차 현상, 국소 협세, 출혈, 혈관 신생 여부 등을 본 후, 안저 전반의 변화, 즉 출혈, 삼출반, 색소 침착, 이상 조직 유무, 신생 혈관, 흉터 조직 등을 관찰한다. 마지막으로 빛에 가장 예민한 황반부를 찾아 반사, 부종, 출혈, 삼출반 등의 유무를 관찰한다.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