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건성/치료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0월 6일 (수) 13:56 판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환자가 양쪽눈에 황반 변성이 없거나, 단지 초기 AMD가 있는 경우는 통상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다. 이러한 경우는 매년 안저 검사를 시행하여 중기 AMD로 진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AREDS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기 AMD를 가진 환자들의 약 1/3이 5년 안에 중기 AMD로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2 환자가 중기 AMD가 어느 한쪽 눈에 있다면, AREDS 유형 식이를 권유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환자가 한쪽 눈에 진행된 AMD (중심와를 침범한 지도모양 위축 혹은 wAMD) 가 있는 경우, 반대 눈의 상태와 는 상관없이 AREDS 유형 식이를 시작하여야 한다. 또한 양쪽 눈에 모두 진행된 AMD가 있을 경우, 한쪽 눈의 시력이 최소 0.2 이상인 경우에도 AREDS 유형 식이 보충을 추천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항산화제와 비타민

AREDS는 비타민 C (500 mg), 비타민 E (400 IU), β-카로틴 (15 mg) 그리고 아연 (80 mg 산화아연과 아연에 의한 빈혈을 예방하기 위한 2 mg 산화제2구리) 으로 구성된 보충제의 AMD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중기 AMD 또는 반대 안에 진행된 AMD를 갖는 환자에서 AREDS 식이를 복용한 군의 경우 5년 후 진행된 AMD로 진행할 위험이 25% 감소되었고 3줄 이상의 중등도 시력 상실의 위험은 19% 감소하였다. 그러나 AMD가 없거나 초기인 환자에게는 이득이 없었다.

과거 연구에서 황반에 존재하는 카로티노이드 화합물인 루테인 (lutein) 과 제아잔틴 (zeaxanthin) 이 AMD의 발생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 고,73 오메가-3 긴사슬 불포화 지방산{docosahexaenoic acid [DHA]와 eicosapentaenoic acid [EPA]) 역시 진행된 AMD로의 진행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루테인과 제아잔틴, 오메가-3 긴사슬 불포화 지방산 (DHA, EPA) 등을 보충하는 것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세 가지 성분의 복용이 진행된 AMD의 발생줄일 수 있는지에 대한 AREDS2 연구가 시행되었으며,2013년에 결과가 발표되었다.74

AREDS2 연구는

  • 기존의 AREDS 식이에 루테인과 제아잔틴, 오메가-3 긴사슬 불포화 지방산 (DHA, EPA), 그리고 모두 다 추가하였을 때 진행된 AMD의 위험이 낮아지는지
  • β-카로틴이 흡연자에게서 폐암의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기존의 AREDS 식이에서 β-카로틴을 제거한 경우와 아연의 용량을 낮춘 경우, β-카로틴을 제거하고 아연의 용량을 낮춘 경우에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일차 결과에서 기존의 AREDS 식이에 루테인과 제아잔틴,오메가-3 긴사슬 불포화지방산 (DHA, EPA) 을 추가하는 것이 AMD의 발생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단, 루테인과 제아잔틴, DHA, EPA를 제일 적게 섭취하는 군에서는 진행된 AMD로의 진행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β-카로틴을 없애거나 아연의 농도를 낮추는 것이 진행된 AMD로의 진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흡연자들에 있어서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β-카로틴의 대체 섭취물로 적절할 것이라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시각 주기 조절제

보체계 억제

기타 약물

sirolimus

amyloid

맥락막 혈류 증가

신경 보호

doxycycline (MMP 억제제)

MMP-2, MMP-9 와 같은 MMP는 AMD의 혈관 신생 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CNV 환자에서 제거된 신생혈관막으로부터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Doxycycline 은 tetracyclines 계열 항생제 중에 가장 강력한 MMP 억제제로 알려져 있으며[2], CNV 동물 모델에서 레이저 유도 병변의 크기를 감소시켰다.

참고

  1. Anand-Apte B et al. Inhibition of angiogenesis by tissue inhibitor of MMP-3. IOVS. 1997 Apr;38(5):817-23. 연결
  2. Samtani S et al. Doxycycline-mediated inhibition of CNV. IOVS. 2009 Nov;50(11):5098-106.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