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구성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13일 (수) 14:06 판 (새 문서: == 콜라겐 == 콜라겐은 가장 중요한 구조 단백질로 유리체내에는 여러 종류의 콜라겐 섬유들이 섞여 있다. 유리체 내에는 2형 콜라겐 (75%)...)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콜라겐

콜라겐은 가장 중요한 구조 단백질로 유리체내에는 여러 종류의 콜라겐 섬유들이 섞여 있다. 유리체 내에는 2형 콜라겐 (75%) 이 가장 많으며, 5,11형의 복합 (10%), 9형 (15%), 6형 콜라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든 콜라겐은 3개의 polypeptide chain인 α-chain이 꼬여 있는 3중 나선형 구조를 이루고 있다[1][2].

유리체 절제술 등으로 콜라겐이 제거되어도 다시 유리체가 재형성되지 않는다는 점과 유리체의 콜라겐은 일생동안 그 양이 일정하다는 보고 등을 통해 출생 후 유리체 내 콜라겐은 거의 재생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성인 유리체내 procollagen의 발견 등은 출생 후에도 소량이지만 일부에서는 유리체내 콜라겐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유리체의 골격에 해당하는 이형 콜라겐 섬유는 3종류의 콜라겐이 합쳐져 만들어진다. 5/11형 콜라겐을 중심축으로 해서 그 표면을 2, 9형 콜라겐이 전기선과 같이 감싸고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표면을 감싸는 9형 콜라겐은 CS와 연결되어 proteoglycan을 형성한다. 콜라겐 섬유의 직경은 10~20 nm이나 길이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콜라겐 섬유들은 22 nm 간격으로 떨어져서 유리체의 피질 영역에 주로 응축되어 있다[3].

4형 콜라겐은 콜라겐 섬유를 형성하는 콜라겐은 아니나 독립된 미세섬유 형태로 유리체내에 넓게 분포하며, 콜라겐 섬유 및 히알루론산과 연결되어 이 둘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콜라겐의 생성 유전자인 COL2A1, COL11A1 등의 변이는 선천성 유리체 이상을 나타내는 스티클러 증후군을 발생시킨다.

  1. Le Goff MM et al. Adult vitreous structure and postnatal changes. Eye (Lond). 2008 Oct;22(10):1214-22. 연결
  2. Bishop PN. Structural macromolecules and supramolecular organisation of the vitreous gel. Prog Retin Eye Res. 2000 May;19(3):323-44. 연결
  3. Sebag J. Molecular biology of pharmacologic vitreolysis. Trans Am Ophthalmol Soc. 2005;103:473-94.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