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샘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눈물샘 (lacrimal gland; LG)[1] 은 눈꺼풀 올림근 널힘줄에 의해 안와엽과 눈꺼풀엽으로 나뉜다.
기능
- 눈물 분비 : 건강한 안구 표면과 시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며[2], 눈물샘의 병리학적 변화는 눈물의 양과 질을 감소시켜 건조증을 유발한다.
- 안구 표면의 면역 체계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3].
분류
변화
Prager[4]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눈물샘의 무게가 감소한다고 하였으며, Bingham 등[5]은 눈물샘의 부피는 연령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고 하였다. Ueno 등[6]은 남녀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여성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눈물샘의 부피 및 조영증가가 감소한다고 하였고, 이는 호르몬이 눈물샘의 발달과 노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Lee 등[7]은 CT로 한국인의 정상 눈물샘 크기를 2차원적으로 측정하였고 눈물샘의 세로 길이, 관상면 길이, 세로 너비는 나이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고 하였다. Landis 등은 갑상샘 눈병증이 있는 환자에서 정상인에 비하여 눈물샘의 부피가 크며 이는 주관적인 눈물 흘림 증상 및 안구 돌출 정도와 비례한다고 보고하였다.
조직학적 변화를 살펴보면 Damato 등[8]은 노화에 따라 눈물샘 주위와 눈물관 주위의 섬유화와 눈물샘의 위축 등을 보고하였고, Roen 등[9]도 역시 노화에 따라 눈물관 주위의 섬유화와 눈물샘의 만성 염증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연령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는 눈물 분비를 감소시켜 안구 건조를 발생시킨다고 하였다.
참고
- ↑ 성형안과학 제 4판, 2022 (대한 성형안과 학회, 도서출판 내외학술)
- ↑ Obata H. Anatomy and histopathology of the human LG. Cornea. 2006 Dec;25(10 Suppl 1):S82-9. 연결
- ↑ Chandler JW et al. Immunologic defense mechanisms of the ocular surface. Ophthalmology. 1983 Jun;90(6):585-91. 연결
- ↑ Prager A. [Macroscopic and microscopic investigations on senile atrophy of the LG (preliminary report)]. Bibl Ophthalmol. 1966;69:146-58. German. 연결
- ↑ Bingham CM et al. Calculated CT volumes of LG in normal Caucasian orbits.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13 May-Jun;29(3):157-9. 연결
- ↑ Ueno H et al. MRI of the LG. Age-related and gender-dependent changes in size and structure. Acta Radiol. 1996 Sep;37(5):714-9. 연결
- ↑ Lee JS et al. CT dimensions of the LG in healthy orbits. J Craniofac Surg. 2013 May;24(3):712-5. 연결
- ↑ Damato BE et al. Senile atrophy of the human LG : the contribution of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BJO. 1984 Sep;68(9):674-80. 연결
- ↑ Roen JL et al. Aging changes in the human LG : role of the ducts. CLAO J. 1985 Jul-Sep;11(3):237-42.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