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황반 (macula lutea)[1] 은 시신경 유두 중심에서 귀쪽으로 3.5~5.5mm, 아래로 0.6~0.8mm 떨어진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대략 5.5mm 직경의 타원형의 영역으로, 대략적으로 이측의 상, 하측 연속활 동맥들로 경계 지어진다. 잔토필 (xanthophyll), 루테인, 제아잔틴과 같은 망막의 색소가 많이 분포하여 노란 빛깔을 띠며, 아래의 망막 색소상피세포는 키가 크고, 다른 부위의 세포에 비해 색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이 부위의 망막은 다른 부위에 비해 어둡게 보인다[2][3].
지형학적 분류
- 중심와 (fovea)
- 중심와부근 (parafovea) : 중심와 주변의 0.5mm 두께의 환상의 영역이다. 주변부로 밀려난 양극세포, 신경절세포 등이 모여 있어, 망막에서 이들 세포의 밀도가 가장 높은 부위로, 내과립층은 약 12개의 세포 두께를 보이며, 신경절 세포층은 약 7개의 세포 두께를 보인다[3][4].
- 중심와주위 (perifovea) : 중심와부근 바깥쪽 영역
용어의 혼용
조직학적 관점에서의 중심와를 임상의들은 주로 황반이라고 부르며, 조직학적 관점에서의 중심소와를 임상의들은 중심와라고 부른다. 황반은 임상에서만 사용하는 용어로, 대개는 시신경유두 정도 크기의 주변에 비해 어두운 중심부 망막을 가리키며, 이 황반의 중심을 임상에서는 중심와라고 부른다. 이러한 중심부 망막은 임상에서는 후극부 (posterior pole) 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아직 정해진 것이 없고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5].
황반의 노화
황반/노화 참고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Provis JM et al. Adaptation of the central retina for high acuity vision : cones, the fovea and the avascular zone. Prog Retin Eye Res. 2013 Jul;35:63-81. 연결
- ↑ 3.0 3.1 Bringmann A et al. The primate fovea : Structure, function and development. Prog Retin Eye Res. 2018 Sep;66:49-84. 연결
- ↑ Polyak S. The vertebrate visual syste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7
- ↑ Remington LA. Retina. In: Remington LA, ed. Clinical anatomy and physiology of the visual system, 3rd ed. St. Louis: Butterworth-Heinemann, 2012; chap.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