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농 육아종

Smile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9일 (목) 03:24 판 (새 문서: 결막의 <b>화농 육아종 (pyogenic granuloma)</b> 은 혈관 내피 세포와 육아 조직의 반응성 증식인데, 육아종성 염증은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 용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결막의 화농 육아종 (pyogenic granuloma) 은 혈관 내피 세포와 육아 조직의 반응성 증식인데, 육아종성 염증은 나타나지 않으므로 이 용어는 잘못된 명칭이다. 조직학적으로도 세균 감염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화농성이 아니며, 기저의 콩다래끼가 침투하지 않는다면 육아종성도 아니다.

역학

보통 수일에서 수주 내에 빠르게 자란다.

위험 인자

사시 수술, 콩다래끼 또는 감염으로 인한 염증, 화학 화상, 안구 위축, 전체층 각막 이식, 이물, 이전의 각막 윤부 주변 수술 또는 결막 경유 눈꺼풀 성형술 후에 생길 수 있다.

임상 소견

다양하고 빨갛게 나타나지만 방패 모양(placoid)이나 주형 모양(molded)으로 보일 수 있다. 표면의 상피는 자주 벗겨지는데, 이때 병변 바닥의 협착을 유발하여 잔고리가 생길 수 있다.

조직병리

병변은표면에 수직으로 향하는 많은 미성숙 모세혈관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이질에는 다형핵 백혈구, 림프구, 형질 세포, 섬유모세포 등이 섞여 있다.

감별 진단

  • 편평 세포암을 절제한 후 생긴 암의 재발
  • 카포시 육종 : 발생률과 유발 요인으로 구별할 수 있다.

수술적 치료

  • 단순 절제 생검 :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다. 지속적으로 육아 조직이 자라나오지 못하도록 표면이 얼마나 재상피화되는지에 따라 재발 여부가 결정된다. 그래서 결막 주변을 1차 봉합하는 것이 추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