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관련 황반변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1] 은 비교적 고연령층에서 (일반적으로 50세 이상) 황반부에 드루젠이라고 하는 침착물들과 다양한 형태의 변성이 오는 질환이다. 후기로 진행될 경우 황반 중심부에 위축성 상흔이나 맥락막 신생혈관이 발생하여 심한 시력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분류
- 건성 (dry) : 초기, 중기 및 위축성 상흔이 생기는 후기 AMD
- 습성 (wet) 또는 삼출성 (exudative) : 후기 형태 중 맥락막 신생혈관이 동반된 경우
역학
발병률
발병률을 추산한 몇 개의 연구들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하게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준다.
Framingham Eye Study
5년간 발병률은 65세 2.5%, 70세는 6.7%, 75세는 10.8%라고 발표했다[2].
Beaver Dam Eye Study (BDES)
43~86세의 3,583명의 초기와 후기 AMD의 누적 발병률을 추산하였는데, 4~50대의 초기 AMD의 5년간 발병률은 3.9%이지만 75세 이상의 경우에는 22.8%로 증가하였다. 시력 감소가 심한 후기 AMD의 발병률도 비슷한데, 40대 이상 전체 고령 인구의 후기 AMD의 5년간 발병률은 0.9%이지만, 75세 이상에서는 5.4%, 80세 이상에서는 6.3%까지 증가하였다[3][4]. 그러나 이런 발병률은 인종에 따라서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적으로 흑인에서 그 발병률과 유병률이 백인보다 낮으며, 진행한 AMD의 경우 동양인에서는 서양인과 달리 위축형보다는 삼출형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병률
NHANES (2005~2008)
2011년에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에 따르면 40세 이상에서 AMD의 유병률은 6.5%였으며, 연령별로 는 40-59세까지는 2.8%의 유병률이었으나, 60세 이상에서 는 13.4%의 유병률을.:보여 주었다. 후기로 진행된 나이관 련황반변성의 경우 0.8%의 유병률을 보였으며, 습성 0.3%, 위축성 0.5%로 위축성이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40, 50대 에서는 한 명도 발생하지 않았고, 60세 이상에서는 2.2%의 유병률을 나타냈다[5]. 이들의 결과에서 재미있는 것은 약 15년 전에 동일한 방법으로 연구되었던 NHANES III (1988- 1994년) 결과에 비하여 전체적인 나이관련황반변성의 유 병률이 크게 감소한 사실이다. 그 당시의 유병률은 9.4%였 으며, 많은 사람들이 세월이 흐를수록 유병률이 증가할 것 으로 예상하였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의 결과를 보여 주었다.
기타
Beaver Dam Eye Study (2003~2005) 등 최근에 발표된 서구의 다른 역학조사들도 대개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국내
질병 관리 본부와 대한안과학회가 주관이 되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매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2008년부터 예년에 걸전 진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40세 이상 연령층의 유병률은 6.62%로 초기 AMD 유병률이 6.02%, 후기 AMD 중 습성 유병률이 0.60%, 건성 유병률이 0.12%로 습성이 건성에 비하여 4배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6]. 이런 국내 결과는 최근 서구에서 발표된 것과 큰 차이가 없으나,진행된 후기 AMD의 경우 서구와 달리 습성형이 훨씬 많다는 것이 눈에 띄는 점이다.
위험 인자
참고
- ↑ 망막 5판, 2021 (한국 망막 학회, 진기획)
- ↑ Leibowitz HM et al. The Framingham Eye Study monograph : An ophthalmological and epidemiological study of cat, glaucoma, DMR, macular degeneration, and VA in a general population of 2631 adults, 1973-1975. Surv Ophthalmol. 1980 May-Jun;24(Suppl):335-610. 연결
- ↑ Klein R et al. Prevalence of AMD.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1992 Jun;99(6):933-43. 연결
- ↑ Klein R et al. The 5-year incidence and progression of AMD :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ology. 1997 Jan;104(1):7-21. 연결
- ↑ Klein R et al. Prevalence of AMD in the US population. Arch Ophthalmol. 2011 Jan;129(1):75-80. 연결
- ↑ Park SJ et al; Epidemiologic Survey Committee of KOS. AMD :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rom KNHNE Survey, 2008-2011. Ophthalmology. 2014 Sep;121(9):1756-65.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