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b>맹시 (blindsight)</b>는 시피질의 병변 때문에 동명성 반맹이 있는 환자가 결함이 있는 시야의 목표물을 눈이나 손으로 정확하게 가리키는...)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맹시 (blindsight)'''{{신경안과}} 는 시피질의 병변 때문에 동명성 반맹이 있는 환자가 결함이 있는 시야의 목표물을 눈이나 손으로 정확하게 가리키는 경우를 말하는데, 이 때 환자는 사물을 의식하지는 못한다<ref>Poppel E et al. Leter : Residual visual function after brain wounds involving the central visual pathways in man. ''Nature''. 1973 Jun 1;243(5405):295-6. [https://pubmed.ncbi.nlm.nih.gov/4774871/ 연결]</ref>. | |||
특히 보이지 않는 시야에서 정지해 있는 사물은 인지하지 못하나 움직이는 사물은 인지하는 경우를 [[리도크 현상]]이라 한다. | |||
== 역학 == | == 역학 == | ||
실제로 매우 드물며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상 시야의 시기능보다 부정확하고 불안정하다. 어떤 환자에서 맹시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다. | 실제로 매우 드물며 존재하는 경우에도 정상 시야의 시기능보다 부정확하고 불안정하다. 어떤 환자에서 맹시가 나타나는지에 대해서는 확실히 알려지지 않았다. | ||
== | == 가설 == | ||
# 망막-슬상-피질 경로와 병행하는 또 다른 경로가 있다는 설명이다. 처음에는 상구와 시상 베개 (pulvinar) 를 포함하는 부시각 (subcortical) 경로가 제기되었고 이 경로는 V5(MT) 영역으로 진행한다고 생각된다<ref>Schoenfeld MA et al. Analysis of pathways mediating preserved vision after striate cortex lesions. ''Ann Neurol''. 2002 Dec;52(6):814-24. [https://pubmed.ncbi.nlm.nih.gov/12447936/ 연결]</ref>. | |||
# 시피질의 매우 작은 부분이 남아서 의식적인 시각인지는 불가능하나 무의식적인 시각인지는 가능하다는 설명이 있다.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