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 각막상피 결손: 두 판 사이의 차이

639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7월 3일 (월)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잔글 (→‎원인)
잔글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각막 상피의 전층 소실이 발생한 후, 잔여 각막 상피세포 또는 각막 윤부 줄기세포에 의하여 각막의 재상피화가 일어나지 않아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ref>남정우 등, 난치성 지속 각막상피 결손에서 양막 추출물 점안액의 임상 효과, ''한안지'' 2021;62(10):1340-134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508 연결]</ref>.
각막 상피의 전층 소실이 발생한 후, 잔여 각막 상피세포 또는 각막 윤부 줄기세포에 의하여 각막의 재상피화가 일어나지 않아 정상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없을 때 나타난다<ref>남정우 등, 난치성 지속 각막상피 결손에서 양막 추출물 점안액의 임상 효과, ''한안지'' 2021;62(10):1340-134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508 연결]</ref>.
== 원인 ==
== 원인 ==
각막 찰과상과 수술 등 각막에 발생하는 외상, [[건성안]], 노출 각막염, [[신경영양 각막염]], 감염 각막염 이후에 발생한 각막 궤양 그리고 당뇨와 같은 전신 질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
각막 찰과상과 수술 등 각막에 발생하는 외상, [[건성안]], 노출 각막염, [[신경영양 각막염]], 감염 각막염 이후에 발생한 각막 궤양 그리고 당뇨와 같은 전신 질환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ref>Nishida T et al. Peptide therapies for ocular surface disturbances based on fibronectin-integrin interactions. ''Prog Retin Eye Res''. 2015 Jul;47:38-63. [https://pubmed.ncbi.nlm.nih.gov/25645519/ 연결]</ref>.
== 예후 ==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다면, 이차 감염, 반흔 형성, 천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영구적인 시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ref>Eke T et al. Recurrent symptoms following traumatic corneal abrasion : prevalence, severity, and the effect of a simple regimen of prophylaxis. ''Eye (Lond)''. 1999 Jun;13 (Pt 3a):345-7. [https://pubmed.ncbi.nlm.nih.gov/10624430/ 연결]</ref>.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