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예후)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후천 외향신경 마비 (acquired abducens nerve palsy)'''{{신경안과}} | '''후천 외향신경 마비 (acquired abducens nerve palsy)'''{{신경안과}} | ||
== 원인<ref>신지수 등, 후천 마비 사시의 임상 양상, ''한안지'' 2017;58(5):572-57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180 연결]</ref> == | |||
* 혈관 (48.5%) | |||
* 특발성 (21.2%) | |||
* 종양 (12.1%) | |||
* 염증 (9.1%) | |||
* 외상 (9.1%) | |||
== 만성 단독 마비 == | == 만성 단독 마비 == | ||
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는 단독 마비는 양성의 혈관이나 염증, 압박 병변이 원인이며 압박 병변이 아니라면 대개 3개월 이내에 좋아진다. 그러나 3개월 이내에 호전이 시작되지 않거나 경과 중 다른 신경학적 징후로 삼차신경 감각신경병증이나 안면신경 불완전 마비, 난청, [[호르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뇌영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외향신경 마비가 저절로 좋아지더라도 종양이 원인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 다른 징후나 증상이 없는 단독 마비는 양성의 혈관이나 염증, 압박 병변이 원인이며 압박 병변이 아니라면 대개 3개월 이내에 좋아진다. 그러나 3개월 이내에 호전이 시작되지 않거나 경과 중 다른 신경학적 징후로 삼차신경 감각신경병증이나 안면신경 불완전 마비, 난청, [[호르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면 적절한 뇌영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외향신경 마비가 저절로 좋아지더라도 종양이 원인일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