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불명확하거나 다양한 부위의 병변)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단독으로 발생하거나,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해면굴샛길,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그림 27-14).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거대세포동맥염,염증,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같은 쪽 외향신경마비와 같은 쪽 Horner증후군 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섬유on/Zosy/n/w出eh'c fiber카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그림 27-15).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은 결막부종과 안구돌출,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샛길도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46 | 단독으로 발생하거나,다른 뇌신경병증과 함께 나타난다. 해면정맥굴 안의 혈관 병변인 동맥류나 경동맥해면굴샛길,종양 등이 원인이며 양쪽 해면정맥굴 침범으로 양쪽 [[외향신경 마비]]가 올 수도 있다(그림 27-14). 허혈 위험인자인 당뇨병이나 고혈압,거대세포동맥염,염증,편두통 등도 해면정맥굴 안에서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신경도 같이 침범될 수 있다. 대개 동통을 동반한다. 같은 쪽 외향신경마비와 같은 쪽 Horner증후군 이 함께 생길 수 있는데,해면정맥굴 안에서 눈교감신경섬유on/Zosy/n/w出eh'c fiber카 외향신경과 잠시 같이 주행하기 때문이다(그림 27-15). 상안와열 병변일 때 주위의 다른 눈운동신경을 동시에 침범하여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앞쪽으로 배출되는 경막경동맥해면굴샛길 dural carotid cavernous sinus fistula은 결막부종과 안구돌출,충혈을 일으킨다. 뒤쪽으로 배출되는 경동맥해면굴샛길도 외향신경마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안와 징후가 없다.46 | ||
=== 불명확하거나 다양한 부위의 병변 === | === 불명확하거나 다양한 부위의 병변 === | ||
저절로 좋아지는 일시적 [[외향신경 마비]]는 드물지 않다. 대개 원래 가지고 있던 전신적 | 저절로 좋아지는 일시적 [[외향신경 마비]]는 드물지 않다. 대개 원래 가지고 있던 전신적 혈관 위험 요인인 당뇨병이나 고혈압, 최근의 바이러스 감염, 예방 접종, 독성 물질 (비소,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CCl<sub>4</sub>), [[클로로퀸]], ethylene glycol, isoniazid, nitrofuran 등) 이 원인이다. | ||
== 만성 단독 마비 == | == 만성 단독 마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