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모니딘: 두 판 사이의 차이

298 바이트 추가됨 ,  2023년 9월 16일 (토)
잔글
잔글 (→‎효과)
 
17번째 줄: 17번째 줄:


== 효과 ==
== 효과 ==
0.2%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는 0.5% [[티몰롤]]과 유사하며<ref>Katz LJ. Brimonidine tartrate 0.2% 2/d vs timolol 0.5% 2/d : 1y results in glaucoma patients. Brimonidine Study Group. ''AJO''. 1999 Jan;127(1):20-6. [https://pubmed.ncbi.nlm.nih.gov/9932994/ 연결]</ref> 0.25% [[베탁솔롤]]보다는 우수하다. 0.5% [[아프라클로니딘]]과 마찬가지로 전안부 레이저 시술 시 나타나는 안압 상승을 방지하는 데도 사용된다<ref>Chen TC et al. Brimonidine 0.2% vs apraclonidine 0.5% for prevention of IOP elevations after AS laser surgery. ''Ophthalmology''. 2001 Jun;108(6):1033-8. [https://pubmed.ncbi.nlm.nih.gov/11382625/ 연결]</ref>.
0.2% 브리모니딘의 안압 하강 효과는 0.5% [[티몰롤]]과 유사하며<ref>Katz LJ. Brimonidine tartrate 0.2% 2/d vs timolol 0.5% 2/d : 1y results in glaucoma patients. Brimonidine Study Group. ''AJO''. 1999 Jan;127(1):20-6. [https://pubmed.ncbi.nlm.nih.gov/9932994/ 연결]</ref> 0.25% [[베탁솔롤]]보다는 우수하다<ref>Javitt J et al. Comparison of the clinical success rates and QoL effects of brimonidine tartrate 0.2% and betaxolol 0.25% suspension in patients w OAG and OHTN. Brimonidine Outcomes Study Group II. ''J Glaucoma''. 2000 Oct;9(5):398-408. [https://pubmed.ncbi.nlm.nih.gov/11039742/ 연결]</ref>. 0.5% [[아프라클로니딘]]과 마찬가지로 전안부 레이저 시술 시 나타나는 안압 상승을 방지하는 데도 사용된다<ref>Chen TC et al. Brimonidine 0.2% vs apraclonidine 0.5% for prevention of IOP elevations after AS laser surgery. ''Ophthalmology''. 2001 Jun;108(6):1033-8. [https://pubmed.ncbi.nlm.nih.gov/11382625/ 연결]</ref>.


α2 교감 작동제는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brimonidine도 시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신경 손상이나 허혈을 유발한 실험적 연구에서 브리모니딘이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실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실험 모델의 연구 결과를 사람에게 발생하는 녹내장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으므로 실제 녹내장 환자에서 신경보호 작용이 있는지의 여부는 앞으로 더 많은 임상연구가 필요하다.
α2 교감 작동제는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brimonidine도 시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시신경 손상이나 허혈을 유발한 실험적 연구에서 브리모니딘이 망막 신경절 세포의 손실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실험 모델의 연구 결과를 사람에게 발생하는 녹내장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으므로 실제 녹내장 환자에서 신경보호 작용이 있는지의 여부는 앞으로 더 많은 임상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