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꺼풀염: 두 판 사이의 차이

17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7월 11일 (목)
잔글
잔글 (→‎치료)
31번째 줄: 31번째 줄:
* 눈꺼풀의 피지샘암종 (sebaceous gland carcinoma) : 종괴의 성장이 없다면 단순 만성 염증 상태로 오인될 수 있다<ref>Amescua G et al; AAO Preferred Practice Pattern Cornea and External Disease Panel. Blepharitis Preferred Practice Pattern®. ''Ophthalmology''. 2019 Jan;126(1):P56-P93. [https://pubmed.ncbi.nlm.nih.gov/30366800/ 연결]</ref>. 비록 드물지만 예후가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피지샘암종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며, 보통의 염증성 눈꺼풀 질환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때 의심해야 한다.
* 눈꺼풀의 피지샘암종 (sebaceous gland carcinoma) : 종괴의 성장이 없다면 단순 만성 염증 상태로 오인될 수 있다<ref>Amescua G et al; AAO Preferred Practice Pattern Cornea and External Disease Panel. Blepharitis Preferred Practice Pattern®. ''Ophthalmology''. 2019 Jan;126(1):P56-P93. [https://pubmed.ncbi.nlm.nih.gov/30366800/ 연결]</ref>. 비록 드물지만 예후가 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피지샘암종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며, 보통의 염증성 눈꺼풀 질환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때 의심해야 한다.


초기에 눈꺼풀염으로 오인될 수 있는 악성 종양은 바닥세포암, 흑색종, 카포시 육종 등이다. 빛 각화증, 편평세포 유두종, 기름샘 증식증, 혈관종의 양성 눈꺼풀 병변도 눈꺼풀염으로 오인될 수 있다. 건선, 비늘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 피부염, 결체 조직 질환, 물집증, 점막 유사 물집증,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같은 피부과적 및 면역학적 질환도 눈꺼풀염과 감별할 필요가 있다. 화학 화상, 열 화상 등의 안구 표면 화상, 방사선 노출, 수술적 외상도 만성 눈꺼풀염을 유발할 수 있다. 눈꺼풀의 미용적 반영구문신 후에도 눈꺼풀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ref>Goldberg RA et al. Complications of blepharopigmentation. ''Ophthalmic Surg''. 1989 Jun;20(6):420-3. [https://pubmed.ncbi.nlm.nih.gov/2748085/ 연결]</ref>, 눈썹 탈락증, 홍반, 감염, 육아종성 염증, 흉터 형성 역시 동반될 수 있다.
초기에 눈꺼풀염으로 오인될 수 있는 악성 종양은 [[바닥세포암]], 흑색종, [[카포시 육종]] 등이다. 빛 각화증, [[편평세포 유두종]], 기름샘 증식증, 혈관종의 양성 눈꺼풀 병변도 눈꺼풀염으로 오인될 수 있다. 건선, 비늘증, [[아토피 피부염]], 접촉 피부염, 결체 조직 질환, 물집증, 점막 유사 물집증,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같은 피부과적 및 면역학적 질환도 눈꺼풀염과 감별할 필요가 있다. 화학 화상, 열 화상 등의 안구 표면 화상, 방사선 노출, 수술적 외상도 만성 눈꺼풀염을 유발할 수 있다. 눈꺼풀의 미용적 반영구문신 후에도 눈꺼풀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ref>Goldberg RA et al. Complications of blepharopigmentation. ''Ophthalmic Surg''. 1989 Jun;20(6):420-3. [https://pubmed.ncbi.nlm.nih.gov/2748085/ 연결]</ref>, 눈썹 탈락증, 홍반, 감염, 육아종성 염증, 흉터 형성 역시 동반될 수 있다.
 
== 치료 ==
== 치료 ==
치료할 때는 적절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치료할 때는 적절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