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잔글 (→‎만성)
잔글 (→‎만성)
20번째 줄: 20번째 줄:
특징적으로 통증, 충혈, 눈부심 그리고 때때로 눈물 흘림을 호소하게 되는데, 증상의 정도는 다양하다. 통증은 앞섬모체 신경의 울혈과 자극 증상으로 인해 나타나며, 심하면 섬모체 연축으로 인해 눈부심이 나타나기도 한다<ref>Hogan MJ et al. Signs and symptoms of uveitis. I. Anterior uveitis. ''AJO''. 1959 May;47(5 Pt 2):155-70. [https://pubmed.ncbi.nlm.nih.gov/13649855/ 연결]</ref>. 통증은 흔히 눈에 국한되지만 안와 주위, 전두부 혹은 측두부까지 방사되기도 하고, [[폐쇄각 녹내장]]이 동반될 경우 오심과 구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전방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소가 형성되거나 [[낭포 황반부종]] (CME) 이 동반되기도 하여 흐려보임을 호소하기도 한다.
특징적으로 통증, 충혈, 눈부심 그리고 때때로 눈물 흘림을 호소하게 되는데, 증상의 정도는 다양하다. 통증은 앞섬모체 신경의 울혈과 자극 증상으로 인해 나타나며, 심하면 섬모체 연축으로 인해 눈부심이 나타나기도 한다<ref>Hogan MJ et al. Signs and symptoms of uveitis. I. Anterior uveitis. ''AJO''. 1959 May;47(5 Pt 2):155-70. [https://pubmed.ncbi.nlm.nih.gov/13649855/ 연결]</ref>. 통증은 흔히 눈에 국한되지만 안와 주위, 전두부 혹은 측두부까지 방사되기도 하고, [[폐쇄각 녹내장]]이 동반될 경우 오심과 구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전방 염증이 심한 경우에는 섬유소가 형성되거나 [[낭포 황반부종]] (CME) 이 동반되기도 하여 흐려보임을 호소하기도 한다.
=== 만성 ===
=== 만성 ===
통증은 드물지만 시야 흐림과 둔통이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대부분이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동반되는 충혈도 대개 경하다. 심한 홍채뒤 유착, 동공 유착, 백내장, 녹내장, 섬모체염막 형성, [[낭포 황반부종]] (CME) 으로 인해 시력 저하가 흔히 나타난다.
통증은 드물지만 시야 흐림과 둔통이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대부분이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동반되는 충혈도 대개 경하다. 심한 홍채뒤 유착, 동공 유착, 백내장, 녹내장, 섬모체염막 형성, [[낭포 황반부종|CME]] 으로 인해 시력 저하가 흔히 나타난다.


== 병력 ==
== 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