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만성) |
잔글 (→인구학적 정보)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과거에 유사한 에피소드가 있었는지 자세히 파악해야 하는데, 스테로이드 유발 안압 상승, 녹내장, 헤르페스 각막염과 같은 질환을 규명해야 한다. 사시 수술, 섬모체 파괴 시술 혹은 관통상이나 안내 이물과 같은 안내 수술 병력은 교감성 안염이나 외인성 안내염을 진단할 때 핵심 단서이다. 이 질환들은 외상이나 수술 이후 흔히 발생하므로 진단 시점이 중요하다. | 과거에 유사한 에피소드가 있었는지 자세히 파악해야 하는데, 스테로이드 유발 안압 상승, 녹내장, 헤르페스 각막염과 같은 질환을 규명해야 한다. 사시 수술, 섬모체 파괴 시술 혹은 관통상이나 안내 이물과 같은 안내 수술 병력은 교감성 안염이나 외인성 안내염을 진단할 때 핵심 단서이다. 이 질환들은 외상이나 수술 이후 흔히 발생하므로 진단 시점이 중요하다. | ||
=== 인구학적 정보 === | === 인구학적 정보 === | ||
특정 형태의 포도막염은 특정한 연령대에 잘 생긴다. 성별, 인종, 민족에 따른 차이도 있는데, 강직 척추염은 남자에게 많은 반면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은 여자에게 더 많다. 감염이 원인인 경우 직업도 단서를 제공한다. 정육업자, 수의사, 농부는 브루셀라균에 감염된 조직에 노출될 수 | 특정 형태의 포도막염은 특정한 연령대에 잘 생긴다. 성별, 인종, 민족에 따른 차이도 있는데, 강직 척추염은 남자에게 많은 반면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은 여자에게 더 많다. 감염이 원인인 경우 직업도 단서를 제공한다. 정육업자, 수의사, 농부는 브루셀라균에 감염된 조직에 노출될 수 있고, 병원 종사자는 결핵균, 단순포진 바이러스, 사람 면역결핍 바이러스 (HIV) 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 거주 지역이나 여행도 감염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ref>Birnbaum AD et al. Epidemiologic relationship between FHI and the US rubella vaccination program. ''AJO''. 2007 Sep;144(3):424-428. [https://pubmed.ncbi.nlm.nih.gov/17631266/ 연결]</ref>. | ||
=== 과거 병력 및 전신 상태 === | === 과거 병력 및 전신 상태 === | ||
성매개 질환과 같은 감염성 질환뿐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 및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과거 상태에 관한 병력을 자세히 문진해야 한다. Rifambutin, bisphosphonates, sulfonamide, cidofovir 같은 약은 앞포도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나<ref>Fraunfelder FW et al. Drug-induced uveitis. Incidence, prevention and treatment. ''Drug Saf''. 1997 Sep;17(3):197-207. [https://pubmed.ncbi.nlm.nih.gov/9306054/ 연결]</ref>,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와 전안부 염증 및 CME와의 연관성은 최근 반증되었다<ref>Chang JH et al. Use of ocular hypotensive PGAs in patients with uveitis : does their use increase anterior uveitis and CME? ''BJO''. 2008 Jul;92(7):916-21. [https://pubmed.ncbi.nlm.nih.gov/18460537/ 연결]</ref>. | 성매개 질환과 같은 감염성 질환뿐 아니라 자가면역 질환 및 류마티스 질환과 같은 과거 상태에 관한 병력을 자세히 문진해야 한다. Rifambutin, bisphosphonates, sulfonamide, cidofovir 같은 약은 앞포도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나<ref>Fraunfelder FW et al. Drug-induced uveitis. Incidence, prevention and treatment. ''Drug Saf''. 1997 Sep;17(3):197-207. [https://pubmed.ncbi.nlm.nih.gov/9306054/ 연결]</ref>,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와 전안부 염증 및 CME와의 연관성은 최근 반증되었다<ref>Chang JH et al. Use of ocular hypotensive PGAs in patients with uveitis : does their use increase anterior uveitis and CME? ''BJO''. 2008 Jul;92(7):916-21. [https://pubmed.ncbi.nlm.nih.gov/18460537/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