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사이클로스포린) |
잔글 (→TNF-α 억제제) |
||
70번째 줄: | 70번째 줄: | ||
=== TNF-α 억제제 === | === TNF-α 억제제 === | ||
종양 괴사인자 (TNF)-α 억제제와 같은 생물학적 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강직 척추염 같은 관절염의 전신 치료에 효과적이다. 이는 모든 종류의 포도막염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으나 뒤포도막염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시력을 위협하는 포도막염의 경우 다른 제제들로 치료에 실패했을 경우를 대비해 남겨두어야 한다.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는 TNF-α 억제제로 | 종양 괴사인자 (TNF)-α 억제제와 같은 생물학적 제제는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강직 척추염 같은 관절염의 전신 치료에 효과적이다<ref>최석규 등, 난치성 포도막염에서 종양 괴사인자 항체의 치료 효과, ''한안지'' 2007;48(2):273-278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116 연결]</ref>. 이는 모든 종류의 포도막염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으나 뒤포도막염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고, 시력을 위협하는 포도막염의 경우 다른 제제들로 치료에 실패했을 경우를 대비해 남겨두어야 한다. 최근 임상에서 사용되는 TNF-α 억제제로 | ||
* etanercept (Enbrel) : 관절 질환의 경우 피하로 주사하는데 눈 질환에서는 다른 종류의 TNF-α 억제제보다 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 etanercept (Enbrel) : 관절 질환의 경우 피하로 주사하는데 눈 질환에서는 다른 종류의 TNF-α 억제제보다 덜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
* infliximab (Remicade) :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건선 관절염에 대해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맥 주사하며 특히 [[베체트병]]에 이차적으로 생긴 난치성 포도막염 환자의 80%에서 염증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 infliximab (Remicade) : [[류마티스 관절염]], 크론병, 건선 관절염에 대해 승인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정맥 주사하며 특히 [[베체트병]]에 이차적으로 생긴 난치성 포도막염 환자의 80%에서 염증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