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691 바이트 제거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잔글 (→‎반응)
78번째 줄: 78번째 줄:
가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TNF 억제제는 효과 좋은 면역 조절제이다. 부작용으로는 결핵, [[다발 경화증]], 루푸스 유사 반응이 있고 악성 종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지만, 앞포도막염 치료에서 TNF 억제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TNF 억제제는 효과 좋은 면역 조절제이다. 부작용으로는 결핵, [[다발 경화증]], 루푸스 유사 반응이 있고 악성 종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지만, 앞포도막염 치료에서 TNF 억제제의 역할에 관한 연구가 향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반응 ==
앞포도막염 단독에서는 대부분 스테로이드 점안제가 주요 치료법이다. 먼저 스테로이드를 며칠 동안 1~2시간 간격으로 점안한 후 천천히 감량해 중단한다. 이러한 치료 방법에 반응한다면 몇 주 후 치유될 수 있다. 전방내 염증세포가 없으면 비활동성인 상태로 정의하고, 치료를 끝낸 후 3개월 이상 비활동성 상태를 유지하면 관해된 것으로 간주한다<ref name=r4 />. 반면 만성 앞포도막염에서는 염증을 억제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장기간 저용량 치료가 필요하고, 일부 환자에서는 전신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참고}}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