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45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잔글 (→‎안압)
52번째 줄: 52번째 줄:
=== 수정체 ===
=== 수정체 ===
=== 앞유리체 ===
=== 앞유리체 ===
흥채섬모체염에서는 앞유리체에서도 염증 세포가 발견되므로 세극등 검사에서 수정체 뒤 공간도 검사해야 한다. 심한 염증 시에는 앞유리체면을 따라 섬모체염막이 형성되기도 한다.
=== 안압 ===
=== 안압 ===
심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대부분에서는 섬모체 염증으로 인해 방수 생산이 줄어 안압이 감소한다,그러나 염증 세포나 조직 파편이 섬유주를 막아 방수 유출로에 변화가 생기면 안압이 오를 수 있다. 경증이나 중등 도 급성 포도막염에서 안압이 상승하면 [[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 혹은 헤르페스 포도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만성 포도막염에서는 안압 상승이 잦은데, 이는 홍채앞 유착의 진행, 360도 홍채뒤 유착으로 인한 홍채 볼록 혹은 전방각 신생혈관으로 인해 전방각이 폐쇄되어 발생한다. 또한 섬유주의 염증성 변화나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해 개방각 녹내장도 종종 생긴다.
심한 급성 홍채섬모체염의 대부분에서는 섬모체 염증으로 인해 방수 생산이 줄어 안압이 감소한다,그러나 염증 세포나 조직 파편이 섬유주를 막아 방수 유출로에 변화가 생기면 안압이 오를 수 있다. 경증이나 중등 도 급성 포도막염에서 안압이 상승하면 [[포스너-쉴로스만 증후군]] 혹은 헤르페스 포도막염을 의심해볼 수 있다. 만성 포도막염에서는 안압 상승이 잦은데, 이는 홍채앞 유착의 진행, 360도 홍채뒤 유착으로 인한 홍채 볼록 혹은 전방각 신생혈관으로 인해 전방각이 폐쇄되어 발생한다. 또한 섬유주의 염증성 변화나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인해 개방각 녹내장도 종종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