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포도막염: 두 판 사이의 차이

291 바이트 추가됨 ,  2024년 12월 11일 (수)
잔글
 
51번째 줄: 51번째 줄:
앞포도막염이 오래되면 각막염, 실질 부종, 수포 각막병증 같은 이차 각막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중간 포도막염]] 및 헤르페스 포도막염 환자 일부에서는 각막 내피세포 거부 반응 선과 유사한 자가면역 각막 내피세포병증 소견이 나타나고<ref>Khodadoust AA et al. Pars planitis and autoimmune endotheliopathy. ''AJO''. 1986 Nov 15;102(5):633-9. [https://pubmed.ncbi.nlm.nih.gov/3777084/ 연결]</ref>, 만성 앞포도막염에서는 보우만층에 칼슘이 침착되는 [[띠 각막병증|띠모양 각막병증]]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 [[소아 특발 관절염]] 같이 연령대가 어릴수록 더 자주 생긴다.
앞포도막염이 오래되면 각막염, 실질 부종, 수포 각막병증 같은 이차 각막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중간 포도막염]] 및 헤르페스 포도막염 환자 일부에서는 각막 내피세포 거부 반응 선과 유사한 자가면역 각막 내피세포병증 소견이 나타나고<ref>Khodadoust AA et al. Pars planitis and autoimmune endotheliopathy. ''AJO''. 1986 Nov 15;102(5):633-9. [https://pubmed.ncbi.nlm.nih.gov/3777084/ 연결]</ref>, 만성 앞포도막염에서는 보우만층에 칼슘이 침착되는 [[띠 각막병증|띠모양 각막병증]]이 흔히 나타나는데 이는 [[소아 특발 관절염]] 같이 연령대가 어릴수록 더 자주 생긴다.
=== 수정체 ===
=== 수정체 ===
수정체 전낭에 생기는 다발성 색소 침착은 홍채뒤 유착으로 인해 생기는데 시력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는 흔히 만성 잎포도막염으로 인해 생기며 급성의 경우라도 심한 염증을 일으킨 경우에는 생길 수 있다.
=== 앞유리체 ===
=== 앞유리체 ===
흥채섬모체염에서는 앞유리체에서도 염증 세포가 발견되므로 세극등 검사에서 수정체 뒤 공간도 검사해야 한다. 심한 염증 시에는 앞유리체면을 따라 섬모체염막이 형성되기도 한다.
흥채섬모체염에서는 앞유리체에서도 염증 세포가 발견되므로 세극등 검사에서 수정체 뒤 공간도 검사해야 한다. 심한 염증 시에는 앞유리체면을 따라 섬모체염막이 형성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