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CRVO에 대한 치료'''{{망막}}는 황반 부종이나 신생혈관 증식과 같은 합병증에 대한 것으로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치료는 아직 없다. CVOS에서는 NVI나 NVA가 보일 경우 지체 없이 PRP를 시행하도록 권하고 있다. 그러나 동반된 황반 부종에 있어서는 격자 레이저 광응고의 효과가 없는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최...) |
잔글 (→스테로이드)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 황반 부종 치료 == | == 황반 부종 치료 == | ||
=== 스테로이드 === | === 스테로이드 === | ||
망막 부종을 조절하는 스테로이드의 정확한 작용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사이토카인 및 [[혈관내피 성장인자]]를 포함한 성장인자의 생성을 조절하여 항염증 효과를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며<ref>Nauck M et al. Corticosteroids inhibit the expression of the VEGF gene in human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Eur J Pharmacol''. 1998 Jan 12;341(2-3):309-15. [https://pubmed.ncbi.nlm.nih.gov/9543253/ 연결]</ref>,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혈액-망막 장벽]]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f>Felinski EA et al. Glucocorticoid regulation of endothelial cell tight junction gene expression : novel treatments for DR. ''Curr Eye Res''. 2005 Nov;30(11):949-57. [https://pubmed.ncbi.nlm.nih.gov/16282129/ 연결]</ref>. 스테로이드의 유리체 내 국소적인 사용은 잠재적인 전신 독성을 제한하면서 약물을 망막 혈관 및 황반 조직으로 표적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황반 부종은 재발이 잦아 재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백내장 진행 및 안압 상승의 부작용이 증가하고 비감염성 및 감염성 안내염, 망막박리, 유리체 출혈, 수정체 손상 등의 주사 관련 부작용 있을 수 있다. | |||
====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 ==== | ==== 유리체강 내 트리암시놀론 주사 ==== | ||
== 안구 신생혈관에 대한 치료 == | == 안구 신생혈관에 대한 치료 == | ||
CVOS에 따르면 PRP가 시력 호전에 영향을 주지는 못했으며, 안내 혈관신생 또는 신생혈관 녹내장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비관류 CRVO가 있는 눈에서 예방적인 목적으로 PRP를 시행할 필요는 없고 발병 초기에 자주 검사하여 안내 혈관신생이 관찰되는 즉시 광응고술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였다. 신생혈관의 퇴행은 [[범망막 광응고]] (PRP) 후 90%에서 1~2개월 이내에 보였다<ref name=r29 />. [[범망막 광응고|PRP]] 후 지속적인 혈관신생을 면밀히 추적해야 하며, 진행을 보이는 경우 추가적 광응고술을 시행할 수 있다. | CVOS에 따르면 PRP가 시력 호전에 영향을 주지는 못했으며, 안내 혈관신생 또는 신생혈관 녹내장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하였다. 하지만 비관류 CRVO가 있는 눈에서 예방적인 목적으로 PRP를 시행할 필요는 없고 발병 초기에 자주 검사하여 안내 혈관신생이 관찰되는 즉시 광응고술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였다. 신생혈관의 퇴행은 [[범망막 광응고]] (PRP) 후 90%에서 1~2개월 이내에 보였다<ref name=r29 />. [[범망막 광응고|PRP]] 후 지속적인 혈관신생을 면밀히 추적해야 하며, 진행을 보이는 경우 추가적 광응고술을 시행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