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 눈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333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5월 11일 (일)
잔글
잔글 (→‎분류)
58번째 줄: 58번째 줄:
TAO의 활동기에 눈꺼풀 부종의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밤새 누워 있은 후 아침에 더 심하게 나타난다. 종종 비대칭적이며,성인에 서 지속되는 눈꺼풀 부종이 있다면 가장 먼저 TAO를 의심해야 한다.
TAO의 활동기에 눈꺼풀 부종의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밤새 누워 있은 후 아침에 더 심하게 나타난다. 종종 비대칭적이며,성인에 서 지속되는 눈꺼풀 부종이 있다면 가장 먼저 TAO를 의심해야 한다.


눈꺼풀 뒤당김,특히 위눈꺼풀 뒤당김이 TAO 환자의 약 80%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소견이다. 또한 아랫눈꺼풀 뒤당김
눈꺼풀 뒤당김, 특히 윗눈꺼풀 뒤당김이 TAO 환자의 약 80%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소견이다. 또한 아랫눈꺼풀 뒤당김 이나 눈꺼풀 속말림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눈꺼풀의 위치 이상은 미용적 문제 뿐 아니라 노출과 연관된 안구 표면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윗눈꺼풀의 정상 위치는 위쪽 윤부보다 1~2 mm 아래에 위치하여 이보다 눈꺼풀 테두리가 높아진 경우 윗눈꺼풀 뒤 당김을 진단할 수 있는데, 나이 든 환자의 경우 눈꺼풀 피부 처짐과 노인성 변화 때문에 눈꺼풀 뒤당김이 가려서 보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아랫눈꺼풀의 정상 위치는 아래쪽 윤부에 위치하므로 아래쪽 공막이 보이는 경우, 아랫눈꺼풀 뒤당김을 진단할 수 있다.
 
윗눈꺼풀 뒤당김의 주 발생 기전은 윗눈꺼풀 올림근의 수축과 섬유화이며, 또한 눈꺼풀 올림근이 눈둘레근이나 안와 사이막에 유착되어 발생하나, 교감신경 항진에 의한 뭘러근의 과다 수축이나, 하직근의 섬유화로 인해 생긴 제한성 하사시에 대한 눈꺼풀 올림근-상직근 복합체의 과다 수축과도 연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안구 돌출로 인하여 눈꺼풀 뒤당김이 악화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윗눈꺼풀의 최고 정점은 동공 중심의 내측이나, 갑상샘 눈병증에 의한 윗눈꺼풀 뒤당김이 발생하면, 최고 정점이 소실되어 가쪽으로 갈수록 눈꺼풀의 높이가 계속 높아지는 귀쪽 눈꺼풀 올라감 (temporal flare) 모양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며, 아래쪽을 주시할 때 눈꺼풀 내림 지연 (lid lag) 을 동반한다. 눈꺼풀 뒤당김이 한눈을 침범하거나 두눈에 비 대칭적으로 오는 경우에 눈꺼풀 뒤당김이 덜한 눈이 눈꺼풀 처짐으로 오인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TAO의 다른 증상이 동반되지 않은 눈꺼풀 뒤당김의 경우는 중뇌 질환, 뇌수종, [[등쪽 중뇌 증후군|Parinaud 증후군]] 등을 의심하여 감별하여야 한다. 장기간의 안구 돌출이 눈꺼풀 올림근을 신전시켜 오히려 눈꺼풀 처짐을 발생시킬 수도 있으나, 일정하지 않은 눈꺼풀 처짐이나 제한성이 아닌 눈운동 장애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중증 근무력증]]의 동반을 의심해야 한다.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