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샘 눈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2,124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5월 12일 (월)
잔글
잔글 (→‎치료)
80번째 줄: 80번째 줄:
=== 압박 시신경병증 ===
=== 압박 시신경병증 ===
TAO와 연관된 시신경병증에 의한 시력 장애는 TAO 환자의 약 5-8% 정도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심각성을 고려할 때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고연령이나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자와 당뇨가 있는 경우에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AO와 연관된 시신경병증에 의한 시력 장애는 TAO 환자의 약 5-8% 정도에서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심각성을 고려할 때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고연령이나 남자에서 더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자와 당뇨가 있는 경우에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생 기전은 주로 안와첨 진총건륜 (annulus of Zinn) 부위에서 외안근 비대와 연조직 부종에 의한 부피 증가로 시신경이 눌려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드물게 안와첨 부위에서 외안근과 연조직의 부피 증가가 현저하지 않은 경우에도 시신경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안구 돌출로 인한 시신경의 당김이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다.
증상으로는 시력이나 색감의 저하가 대표적이며, 색감 저하가 시신경병증을 시사하는 가장 민감한 지표로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문진 및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환자가 느끼지 못하거나 시력 및 색감 저하를 동반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외안근 비대나 연조직 부종이 진행하는 증상 및 소견,즉 안구뒤쪽의 압박감이나 통증의
증가,눈운동 장애나 복시의 악화,상방 주시 때의 현저한 안압 증가(9 mmHg) 등이 있다면 반드시 의심하여야 한다.
진단은 위의 증상에 대한 검사와 더불어 영상 검사를 통하여 안와첨에서의 시신경 압박 여부 및 안와위 정맥의 확장, 시신경집(sheath)의 확장, 눈물샘의 전방 이동 등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모든 예에서 시신경 부종이나 창백이 관찰되는 것은 아니나,관찰되는 경우는 시신경병증을 강력히 시사하게 된다. 시야검사 소견은 생리적 암점의 크기 증가, 신경 섬유다발 결손, 중심 부근 암점, 주시점 맹점 암점 (cecocentral scotoma), 전반적 감도 저하 등이 있다. 한눈이 침범되거나 두눈이 비대칭적으로 침범되는 경우에는 [[상대 구심 동공운동 장애]] (RAPD) 가 관찰될 수 있으며,[[시유발 전위]] 검사 상 잠복기의 증가나 진폭의 감소가 관찰될 수 있다. [[빛간섭 단층 촬영]] (OCT) 상 망막 신경섬유층과 황반 신경절세포 복합체의 두께 감소 정도로부터 치료 후 시력 회복 정도를 예상할 수 있다.


== 조직 병리 ==
== 조직 병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