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점 망막병증: 두 판 사이의 차이

1,236 바이트 추가됨 ,  2025년 9월 7일 (일)
잔글
26번째 줄: 26번째 줄:
망막에서 관찰되는 점들은 모양이나 숫자가 변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일부에서 더 뚜렷해지거나 새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일부에서는 희미해지는 등 다양하게 관찰될 수 있다.
망막에서 관찰되는 점들은 모양이나 숫자가 변화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일부에서 더 뚜렷해지거나 새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일부에서는 희미해지는 등 다양하게 관찰될 수 있다.
* [[안저 자가 형광|AF]] : 과형광을 보인다.
* [[안저 자가 형광|AF]] : 과형광을 보인다.
* SD-[[빛간섭 단층 촬영|OCT]] : 반점 부위를 측정하면 돔 모양 또는 고깔 모양의 고반사의 병변이 주로 [[망막 색소상피|RPE]]부터 외경계막 또는 외핵층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ref>남기엽 등. 9세 소아에서 진단된 흰점 망막병증. ''한안지'' 2019;60(10):999-100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723 연결]</ref>.
* SD-[[빛간섭 단층 촬영|OCT]] : 반점 부위를 측정하면 돔 모양 또는 고깔 모양의 고반사의 병변이 주로 [[망막 색소상피|RPE]]부터 외경계막 또는 외핵층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는 것이 관찰된다<ref name=r7>남기엽 등. 9세 소아에서 진단된 흰점 망막병증. ''한안지'' 2019;60(10):999-1005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723 연결]</ref>.
* ff ERG :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20분의 암순응 후 결과는 암순응 (DA) ERG가 비정상적으로 감소되어 있지만 암순응 진동 소파 전위 (dark adapted 3.0 oscillatory potentials ERG) 와 명순응 (LA) 3.0 ERG 그리고 점멸에 대한 반응 (LA 3.0 30 Hz flicker ERG) 은 정상으로 관찰되어 심한 [[막대세포]] 기능 이상에 해당하는 소견을 보인다. 반면 [[망막 전위도|ERG]]를 150~180분의 충분한 암순응 후에 다시 시행하면 DA ERG가 정상 범위로 호전되는 특징이 관찰된다<ref name=r7 />. 암순응 시간에 상관 없이 LA ERG는 대체로 정상 소견을 보이지만, 나이가 들면서 [[원뿔세포]] 기능 이상 소견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적응 제어 광학 (adaptive optics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 AOSLO) 을 이용한 연구에서 [[원뿔세포]]의 밀도가 부분적으로 감소된 결과가 보고되기도 하였다.7-10 암순응 검사에서 [[원뿔세포]]와 [[막대세포]] 모두에서 지연되어 막대-원뿔세포 굴곡점의 출현 시간 및 암 응의 제 2상 (막대세포부) 의 정상 역치까지 모두 지연되지만 [[오구치병]]처럼 심하지는 않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