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새 문서: <b>상사근 힘줄 연장술 (superior oblique tendon lengthening)</b> == 역사 == 1991년 Wright는 상사근 기능 항진의 단계적인 약화를 위해 실리콘 밴드...) |
잔글 (→합병증)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 합병증 == | == 합병증 == | ||
* 섬유조직 피막 형성 : 위쪽과 코쪽 결막 구석에 실리콘 밴드를 넣으면 섬유조직 피막 형성이 만들어진다. 만약 상사근 힘줄을 분리할 때 주의하지 않으면 거짓 피막으로부터 다른 결막 구석 조직으로의 연결이 만들어져 영구적인 하사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결막 구석 조직, 특히 뒤테논 밑면에 대한 세심한 주의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 * 섬유조직 피막 형성 : 위쪽과 코쪽 결막 구석에 실리콘 밴드를 넣으면 섬유조직 피막 형성이 만들어진다. 만약 상사근 힘줄을 분리할 때 주의하지 않으면 거짓 피막으로부터 다른 결막 구석 조직으로의 연결이 만들어져 영구적인 하사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결막 구석 조직, 특히 뒤테논 밑면에 대한 세심한 주의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 ||
* [[브라운 증후군]] : 실리콘 밴드가 너무 코쪽에 위치하면 활차를 통해 지나는 상사근 힘줄 기능이 억제되어 지속적인 브라운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span style='color:blue;'>실리콘 길이는 7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 * [[브라운 증후군]] : 실리콘 밴드가 너무 코쪽에 위치하면 활차를 통해 지나는 상사근 힘줄 기능이 억제되어 지속적인 브라운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span style='color:blue;'>실리콘 길이는 7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span>. 그러나 Awad 등은 제일 눈위치에서 20PD 이상 하사시인 심한 Brown 증후군에서 10~12mm의 긴 밴드를 사용한 힘줄 연장술이 효과적이었으며, 모든 예에서 수술 후 제일 눈위치의 하사시가 8PD 미만이었고, 내전 시 상전 장애는 -1~-2 였으며, 재수술이 필요하거나 실리콘 밴드가 탈출된 예는 없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