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사근 힘줄 연장술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상사근 힘줄 연장술 (superior oblique tendon lengthening)

역사

1991년 Wright는 상사근 기능 항진의 단계적인 약화를 위해 실리콘 밴드 사용을 제안하였으며, 이 방법은 상사근 힘줄 절제술이나 상사근 힘줄 절단술과 비교헀을 때 상사근 기능 저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Greenberg와 Pollard는 뚜렷한 상사근 기능 항진을 가진 하사근 마비에서 실리콘 밴드를 사용한 힘줄 연장술로 효과적으로 눈 정렬이 회복되고 회선이 증진되었다고 보고했다. 그 밖에 fascia lata, palmaris longus tendon, achilles tendon 등을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도 있었다. Knapp은 추후 되돌리기 쉽돌고 상사근 절단술 후 상사근 힘줄 절제 잘린 끝에 느슨한 비흡수 봉합사를 묶는 방법(chicken suture)을 제안한 바 있으며, Suh 등은 이와 같은 Knapp 방법의 변형으로 비흡수 봉합사를 사용하여 수술 중 조정이 가능한 상사근 'suture spacer'를 소개하면서 효과적이고, 실리콘 밴드를 사용하는 방법보다 기술적으로 시행하기 쉽다고 하였다.
Thuangtong과 Isenberg는 suture spacer를 위해 상사근건에 비흡수 봉합사로 간단한 수평 매트리스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수술 중 정확하고 안전한 조정을 시행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Bardorf와 Baker는 상사근 split Z-힘줄 연장술을 소개했으며 이 방법으로 상사근 기능 항진에서 상사근 기능 정상화, A형 사시 감소, 그리고 상사근 기능 항진과 관련된 수직 편위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고 했다.

수술 방법

  • 상사근 힘줄을 분리한 후, 두 개의 Stevens 힘줄 절단 갈고리로 상사근 힘줄을 벌린다.
  • 상사근 코쪽 가장자리 바로 옆에서 직근 후전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힘줄에 5-0 Dacron(R) 봉합사를 걸고, 두 번째 5-0 Dacron(R) 봉합사를 약 3mm 코쪽에 건다.
  • 힘줄을 가로질러 절단하도록 두 봉합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남긴 후 Westcott 가위로 힘줄을 자른다. 이전에 시행한 봉합을 자르지 않고, 두 봉합 사이 가운데를 자르도록 주의한다.
  • 이전에 시행한 봉합을 자르지 않고, 두 봉합 사이 가운데를 자르도록 주의한다.
  • 상사근 힘줄 잘린 끝을 망막 수술용 240 실리콘 밴드에 재부착시킨다. 밴드 길이는 상사근 기능 항진 정도에 따라 4~7mm까지 다양할 수 있다. 집게를 이용하여 밴드를 잡고 있는 동안, 밴드 양쪽 끝으로부터 약 1mm 떨어진 곳에 봉합한다. 힘줄이 실리콘 밴드에 부착될 때까지 봉합사 끝을 가볍게 당긴다.
  • 각각의 Dacron(R) 봉합사 끝을 함께 묶는다. 위쪽과 코쪽 결막 구석으로 실리콘 밴드를 위치시키고 조직이 밴드 위로 당겨지도록 하고 결막을 닫는다.

합병증

  • 섬유조직 피막 형성 : 위쪽과 코쪽 결막 구석에 실리콘 밴드를 넣으면 섬유조직 피막 형성이 만들어진다. 만약 상사근 힘줄을 분리할 때 주의하지 않으면 거짓 피막으로부터 다른 결막 구석 조직으로의 연결이 만들어져 영구적인 하사시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결막 구석 조직, 특히 뒤테논 밑면에 대한 세심한 주의는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 브라운 증후군 : 실리콘 밴드가 너무 코쪽에 위치하면 활차를 통해 지나는 상사근 힘줄 기능이 억제되어 지속적인 브라운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실리콘 길이는 7mm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러나 Awad 등은 제일 눈위치에서 20PD 이상 하사시인 심한 Brown 증후군에서 10~12mm의 긴 밴드를 사용한 힘줄 연장술이 효과적이었으며, 모든 예에서 수술 후 제일 눈위치의 하사시가 8PD 미만이었고, 내전 시 상전 장애는 -1~-2 였으며, 재수술이 필요하거나 실리콘 밴드가 탈출된 예는 없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