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카르핀: 두 판 사이의 차이

326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7월 17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필로카르핀 (pilocarpine) == 병태 생리 ==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지만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킨다. 섬유주 유출이 감소되어...)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 병태 생리 ==
== 병태 생리 ==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지만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킨다. 섬유주 유출이 감소되어 포도막-공막을 통해 방수가 주로 유출되고 있는 환자의 경우 필로카르핀을 사용하면 오히려 안압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방수 생성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br />또한 홍채조임근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축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홍채를 팽팽하게 조여 주변부 홍채를 섬유주로부터 당겨서 앞방각을 여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대 동공차단에 의한 폐쇄각 녹내장에서 단기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방각이 좁은 경우 수정체 앞방이동에 의해 동공 차단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지만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킨다. 섬유주 유출이 감소되어 포도막-공막을 통해 방수가 주로 유출되고 있는 환자의 경우 필로카르핀을 사용하면 오히려 안압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방수 생성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br />또한 홍채조임근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축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홍채를 팽팽하게 조여 주변부 홍채를 섬유주로부터 당겨서 앞방각을 여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대 동공차단에 의한 폐쇄각 녹내장에서 단기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방각이 좁은 경우 수정체 앞방이동에 의해 동공 차단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필로카르핀 2% (pilocarpine HCl 20mg/ml) 의 병 제제
|-
!제품명||용량||제조사||약가
|- style="color:red;"
|오큐카르핀 점안액 2%||10ml||삼일||2,800원/10ml
|-
|이솝토카핀 2% 점안액||15ml||한국 노바티스||2,864원/15ml
|}
== 용법 ==
== 용법 ==
각막을 잘 통과하며 대부분 각막에서 분해되어 소실되고 3% 이하만 앞방으로 들어가게된다. 필로카르핀은 홍채와 섬모체의 멜라닌과 결합하므로 홍채색이 짙을수록 높은 농도로 사용한다. 4% 농도까지는 농도의 증가에 비례해서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며, 하루 4회 사용하지만 누낭을 잘 압박하면 2% 필로카르핀을 하루 2회 점안해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각막을 잘 통과하며 대부분 각막에서 분해되어 소실되고 3% 이하만 앞방으로 들어가게된다. 필로카르핀은 홍채와 섬모체의 멜라닌과 결합하므로 홍채색이 짙을수록 높은 농도로 사용한다. 4% 농도까지는 농도의 증가에 비례해서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며, 하루 4회 사용하지만 누낭을 잘 압박하면 2% 필로카르핀을 하루 2회 점안해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