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로카르핀
필로카르핀 (pilocarpine)[1] 등 부교감계 약물은 점안시 통증이 심하고 전신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어 요즈음 사용이 많이 줄었다.
작용 기전
섬유주를 통한 방수 유출을 증가시키지만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킨다. 섬유주 유출이 감소되어 포도막-공막을 통해 방수가 주로 유출되고 있는 환자의 경우 필로카르핀을 사용하면 오히려 안압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2]. 방수 생성이나 상공막 정맥압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홍채조임근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하여 축동을 일으킨다. 따라서 홍채를 팽팽하게 조여 주변부 홍채를 섬유주로부터 당겨서 앞방각을 여는 효과가 있으므로 상대 동공차단에 의한 폐쇄각 녹내장에서 단기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앞방각이 좁은 경우 수정체 앞방이동에 의해 동공 차단을 악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종류
제품명 | 용량 | 제조사 | 약가 |
---|---|---|---|
오큐카르핀 점안액 2% | 10ml | 삼일 | 2,800원/10ml |
이솝토카핀 2% 점안액 | 15ml | 한국 노바티스 | 2,864원/15ml |
용법
각막을 잘 통과하며 대부분 각막에서 분해되어 소실되고 3% 이하만 앞방으로 들어가게된다. 필로카르핀은 홍채와 섬모체의 멜라닌과 결합하므로 홍채색이 짙을수록 높은 농도로 사용한다. 4% 농도까지는 농도의 증가에 비례해서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며, 하루 4회 사용하지만 누낭을 잘 압박하면 2% 필로카르핀을 하루 2회 점안해도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다.
약물간 상호 작용
방수 생성을 억제하는 대부분의 약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포도막-공막 유출을 감소시킴에도 불구하고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와 함께 사용하면 추가적인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부작용
무스카린성 제제에 의한 전신적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땀, 타액, 눈물, 기관지 분비물의 증가가 나타나며, 평활근을 수축시켜 오심, 구토, 설사, 기관지 경련, 복통과 비뇨생식기계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3]. 이외에 방실 차단과 같은 심기능 장애와 인지 기능 장애가 올 수 있다. 전신적 필로카르핀에 대한 해독제로는 아트로핀을 사용한다.
눈에서의 부작용은 흔하게 나타나며 환자의 삶의 질이나 투약 준수도에 영향을 미친다. 섬모체근 경련에 의해 전액통을 유발하지만 장기간 사용하면 대개 소실된다. 일시적 근시는 점안 15분 후에 나타나 1시간 정도에 가장 심해져 약 2시간 지속되는 주기적 변화를 하기 때문에 특히 젊은 환자에게 사용하기 곤란하게 된다[4]. 두통이나 시력 변화의 증상은 대개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지게 된다. 축동에 의해 시력 저하가 나타나며 특히 야간에 시력이 많이 저하된다.
축동에 의해 시야 장애도 유발하며 백내장이 있는 경우 더 심하게 나타난다[5]. 축동제에 의해 망막 박리도 유발될 수 있으므로[6] 망막 박리의 위험요인 여부를 살펴보고 주변부 안저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 각막 혼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할 정도는 아니지만 앞방 내에서 혈청 단백의 혈액-방수 장벽 투과를 증가시키며[7] 술후 염증 반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포도막염이나 앞방 조직의 신생 혈관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이 제한된다. 장기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홍채후 유착을 방지하고 시신경 검사나 시야 검사를 정밀하게 시행하기 위해 일년에 2회 이상 동공을 산동하는 것이 좋다.
과민 반응이나 독성 반응도 유발할 수 있는데, 알레르기 반응은 주로 눈꺼풀이나 결막에 생기는데 흔히 윗눈꺼풀판 결막에 거대 유두성 반응을 유발하며, 이와 대조적으로 독성 반응은 결막에 여포성 반응을 유발한다[8].
참고
- ↑ 녹내장 개정 7판, 2023 (한국 녹내장 학회, 최신 의학사)
- ↑ Bleiman BS et al. Paradoxical IOP response to pilocarpine. A proposed mechanism and treatment. Arch Ophthalmol. 1979 Jul;97(7):1305-6. 연결
- ↑ Greco JJ et al. Systemic pilocarpine toxicity in the treatment of ACG. Ann Ophthalmol. 1973 Jan;5(1):57-9. 연결
- ↑ Abramson DH et al. Pilocarpine in the presbyope. Demonstration of an effect on the AC and lens thickness. Arch Ophthalmol. 1973 Feb;89(2):100-2. 연결
- ↑ Webster AR et al. The effect of pilocarpine on the glaucomatous VF. BJO. 1993 Nov;77(11):721-5. 연결
- ↑ Pape LG et al. RD and miotic therapy. AJO. 1978 Apr;85(4):558-66. 연결
- ↑ Mori M et al. Effects of pilocarpine and tropicamide on BAB permeability in man. IOVS. 1992 Feb;33(2):416-23. 연결
- ↑ Jackson WB. Differentiating conjunctivitis of diverse origins. Surv Ophthalmol. 1993 Jul-Aug;38 Suppl:91-104. 연결
녹내장 점안제 | ||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 라타노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타플루프로스트, 우노프로스톤 오미데네팍, 라타노프로스텐 부노드 | |
베타 차단제 | 티몰롤, 베탁솔롤, 레보부놀롤, 카테올롤, 메티프라놀롤 | |
교감 신경 흥분제 | 브리모니딘, 아프라클로니딘, 클로니딘, 에피네프린, 디피베프린 | |
탄산 탈수효소 억제제 | 도르졸라미드, 브린졸라미드 | |
락 억제제 | 리파수딜, 네타르수딜 (로클라탄) | |
축동제 | 필로카르핀, 필로핀, 카바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