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해리 수직 편위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DVD) 는 비주시안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눈의 상전, 외회선, 외편위 등으로 구성된 눈운동 이상이다. 동향근은 동시에 같은 양의 신경 지배를 받는다는 <span style='color:blue;'>[[헤링 법칙]]에 위배</span>되는 눈 운동을 보이므로 수직, 회선, 수평의 어느 운동면에 대하여도 반대 방향으로 재주시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상사시와 구분되는 점이다. 보통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사위와 사시의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다. | <b>해리 수직 편위 (dissociated vertical deviation; DVD)</b><ref name="ref1">{{사시}}</ref> 는 비주시안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눈의 상전, 외회선, 외편위 등으로 구성된 눈운동 이상이다. 동향근은 동시에 같은 양의 신경 지배를 받는다는 <span style='color:blue;'>[[헤링 법칙]]에 위배</span>되는 눈 운동을 보이므로 수직, 회선, 수평의 어느 운동면에 대하여도 반대 방향으로 재주시 운동이 나타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상사시와 구분되는 점이다. 보통 간헐적으로 발생하며 사위와 사시의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다. | ||
== 역학 == | == 역학 == | ||
정상 양안시 기능이 있는 사람에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영아 내사시와 영아 외사시에서 발생률이 높고 대개 2세 이후에 나타난다. 주의 깊게 관찰하더라도 영아기에는 잘 진단되지 않고 대개 2~5세 사이에 진단된다. 굴절 부등 약시가 심하거나 감각 사시에서는 한 눈에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span style='color:blue;'>일반적으로 두 눈에 발생하며 비대칭</span>이다. | 정상 양안시 기능이 있는 사람에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영아 내사시와 영아 외사시에서 발생률이 높고 대개 2세 이후에 나타난다. 주의 깊게 관찰하더라도 영아기에는 잘 진단되지 않고 대개 2~5세 사이에 진단된다. 굴절 부등 약시가 심하거나 감각 사시에서는 한 눈에서 발생하기도 하지만 <span style='color:blue;'>일반적으로 두 눈에 발생하며 비대칭</span>이다.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비대칭 수직 사위 | * 비대칭 수직 사위 | ||
* 일치 또는 마비 회선 수직 이상의 동반 | * 일치 또는 마비 회선 수직 이상의 동반 |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