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낭 혼탁: 두 판 사이의 차이

1,870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3일 (금)
잔글
편집 요약 없음
(새 문서: 후낭 혼탁 (posterior capsular opacity; PCO))
 
잔글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후낭 혼탁 (posterior capsular opacity; PCO)
후낭 혼탁 (posterior capsular opacity; PCO) 은 2차 백내장이라고도 부르며,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백내장 수술 기술, 인공 수정체 재질 및 디자인의 변천에 따라서 후낭 혼탁율이 많이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백내장 수술 후 시력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병인이다.
== 역학 ==
[[백내장 낭외 적출술]] 후 흔히 발생하지만, 수정체 유화술 후에도 2~5년 관찰 시 약 20~40%에서 발생한다. 나이가 들면서 발생율이 감소하며, 젊은 나이에 백내장 수술을 받은 경우는 2년 경과 관찰 시 거의 100%에서 발생한다. 소아 백내장 환자에서 수술 후 1년 째에 44%에서 발생했고, 2년 째에는 거의 대부분에서 발생하였따. 이들에서는 발생율이 높을 뿐 아니라, 빠른 시간 내에 발생하고, 약시 유발율도 높다. 소아 백내장 수술 시 후낭 원형 절개술 및 앞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면서 발생율이 줄었다.
== 발생 기전 ==
* 활동적인 수정체 상피 세포의 증식 및 이동
* [[상피 간엽 전이]]
* 콜라겐 단백질의 축적
== 분류
* 섬유화형 (fibrosis-type) : 수정체 상피 세포의 증식 및 이동, 그리고 섬유아세포로의 변화와 그로 인해 섬유성 화생에 의해서 발생하며 수축을 일으켜 미세한 주름이 동반되기도 한다. 수술 직후에 후낭이 단단해지기 전에 발생하는 인공 수정체의 지지부에 의한 후낭 주름과 형태는 유사하지만 기전은 다르다.
* 진주형 (pearl-type) : 적도부에 있는 수정체 상피 세포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는 crystalline을 발현하는 수정체 섬유를 재생하며 이로 인해 엘쉬니히 진주 (Elschnig pearls) 나 Soemmering ring 이 발생한다. 이는 대부분의 후낭 혼탁의 원인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