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모니딘: 두 판 사이의 차이

1,552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12월 10일 (목)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 부작용 ==
== 부작용 ==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 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입마름, 진정작용, 졸음, 두통,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전신 부작용은 고령이나 어린 나이의 환자에게 잘 나타나며, 15세 이하에서는 졸림이 나 기면증이 흔히 나타나므로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혈액-뇌 장벽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경우 심각한 중추신경계 억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특히 5세 이하의 어린이나 영유아에는 무호흡증이나 저혈압을 유발할 위험이 높으므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안구 알레르기 ===
* 접촉성 눈꺼풀 결막염
* 유두 결막염 : 결막 상피세포의 부피를 감소시켜 세포 사이 공간의 확장을 일으켜 결막 외부에 존재하는 많은 잠재적인 전 염증성 물질들이 넓어진 세포간 공간을 통해 쉽게 결막하 조직으로 이동하여 비만세포를 자극하여 일어난다. 따라서, 브리모니딘 자체가 항원으로 작용하기 보다는 알레르기 반응의 방아쇠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평균적으로 6개월이 지난 후 발생하는데, 유두 주변 삼출물이 장기간 쌓이게 되면서 주로 거대 유두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전형적인 알레르기 증상인 간지러움, 눈물 흐림, 결막 부종 및 충혈 등이 나타나고 항 알레르기 약제에 호전을 보일 수 있지만, 브리모니딘 약제 중단 시 뚜렷하게 호전된다.
* 여포 결막염 :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점막 면역세포인 T, B 림프구의 증식, 활성화로 생각된다. 여포는 림포 조직 내 정상 구조물로서, 눈꺼풀 가장자리와 검결막에 가장 많고, 결막 구석, 구결막으로 가면서 급격하게 줄어든다. 브리모니딘이 여포 안의 림프구를 증식시켜 평상시 잘 관찰되지 않던 여포가 불투명하게 노란색으로 보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전형적인 알레르기 증상 없이 결막 부종 및 충혈로 나타나며, 브리모니딘 중단 시 사라진다.
* 만성 육아종성 결막염
{{참고|녹내장}}
{{참고|녹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