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새 문서: 바닥 세포암 (basal cell carcinoma; BCC) == 역학 == 국내에서는 35~45%의 빈도로 보고되어 피지샘암과 발생 빈도가 비슷하나, 서양인에서는 90% 이...)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편평세포암과 더불어 <span style='color:blue;'>자외선 또는 광선 손상</span>과 연관이 있다.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 화상을 쉽게 입는 흰색 피부에서 더 흔히 발생하며 중년에서 <span style='color:blue;'>아랫눈꺼풀</span>(50~60%), 안쪽 눈구석 부위(25~30%)의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 | 편평세포암과 더불어 <span style='color:blue;'>자외선 또는 광선 손상</span>과 연관이 있다. 햇빛에 노출되었을 때 화상을 쉽게 입는 흰색 피부에서 더 흔히 발생하며 중년에서 <span style='color:blue;'>아랫눈꺼풀</span>(50~60%), 안쪽 눈구석 부위(25~30%)의 순으로 많이 발생한다. | ||
== 분류 == | == 분류 == | ||
* 결절-궤양성 (nodular-ulcerative) : 가장 흔한 유형으로 융기된 결절과 모세혈관 확장이 관찰되며 중심에 괴사 또는 궤양을 동반한다. | |||
* 국소 경피증 모양 (morpheaform) : 경계가 불분명한 가죽과 같은 표면을 보이며 임상적으로 관찰되는 부위보다 더 종양이 확대되어 주위 조직의 반흔을 동반한다. | * 국소 경피증 모양 (morpheaform) : 경계가 불분명한 가죽과 같은 표면을 보이며 임상적으로 관찰되는 부위보다 더 종양이 확대되어 주위 조직의 반흔을 동반한다. | ||
* 표재성 (superficial) : 약간 융기된 홍반성 반점의 형태로 나타나며 안면부에서는 드물다. | * 표재성 (superficial) : 약간 융기된 홍반성 반점의 형태로 나타나며 안면부에서는 드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