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진단) |
잔글 (→진단)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에어컨, 연기, 비행기 내의 낮은 습도 같은 환경도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건성안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성 눈물 부족에 의한 건성안은 오후에 증상이 악화되고, 마이봄선 질환에 의한 건성안은 아침에 증상이 더욱 심하다. 또한 표준화된 설문조사를 통한 병력 청취도 진단에 도움이 되는데, 선별 검사와 치료 효과의 경과관찰에도 활용된다. 설문 조사에는 심한 정도, 일상 생활에 대한 영향, 삶의 질 등에 대한 다양한 질문이 포함된다. 환자의 현재와 과거의 약물 복용력도 눈물 분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폐경 여부와 호르몬 치료 여부 또한 조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신 검사를 통해 구강 건조 여부와 치과 질환 병력을 조사하여 [[쇼그렌 증후군]]이나 건성안과 관련된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지 알아봐야 한다. | 에어컨, 연기, 비행기 내의 낮은 습도 같은 환경도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건성안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성 눈물 부족에 의한 건성안은 오후에 증상이 악화되고, 마이봄선 질환에 의한 건성안은 아침에 증상이 더욱 심하다. 또한 표준화된 설문조사를 통한 병력 청취도 진단에 도움이 되는데, 선별 검사와 치료 효과의 경과관찰에도 활용된다. 설문 조사에는 심한 정도, 일상 생활에 대한 영향, 삶의 질 등에 대한 다양한 질문이 포함된다. 환자의 현재와 과거의 약물 복용력도 눈물 분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폐경 여부와 호르몬 치료 여부 또한 조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전신 검사를 통해 구강 건조 여부와 치과 질환 병력을 조사하여 [[쇼그렌 증후군]]이나 건성안과 관련된 다른 전신 질환이 있는지 알아봐야 한다. | ||
=== 이학적 검사 === | === 이학적 검사 === | ||
충분한 병력 청취 후에는 주의깊게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건성안을 진단하고 원인을 찾는 것 이 중요하다. 얼굴과 눈꺼풀 검사를 통해 주사와 헐거운 눈꺼풀 등을 찾아내고, 눈깜박임과 눈꺼풀 위치를 파악한다. 눈깜박임의 횟수, 눈깜박임 사이 간격의 변화, 눈꺼풀 틈새의 간격, 눈이 적절히 감기는지 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눈꺼풀 위치 이상도 눈물의 순환을 방해하므로 [[눈꺼풀 속말림]], 눈물점 외반, 반흔성 눈꺼풀 위치 이상, 눈꺼풀 피부 이완증, 눈물샘 비대로 인한 이측 눈꺼풀의 부종 여부등도주의 깊게 살핀다. | 충분한 병력 청취 후에는 주의깊게 이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건성안을 진단하고 원인을 찾는 것 이 중요하다. 얼굴과 눈꺼풀 검사를 통해 주사와 헐거운 눈꺼풀 등을 찾아내고, 눈깜박임과 눈꺼풀 위치를 파악한다. 눈깜박임의 횟수, 눈깜박임 사이 간격의 변화, 눈꺼풀 틈새의 간격, 눈이 적절히 감기는지 를 중점적으로 평가한다. 눈꺼풀 위치 이상도 눈물의 순환을 방해하므로 [[눈꺼풀 속말림]], 눈물점 외반, 반흔성 눈꺼풀 위치 이상, 눈꺼풀 피부 이완증, 눈물샘 비대로 인한 이측 눈꺼풀의 부종 여부등도주의 깊게 살핀다.{{br}}세극등 검사를 통해 | ||
* 눈꺼풀테 : 충혈, 혈관확장, 두꺼워짐, 반흔,각질화, 궤양, 눈물 찌꺼기, 마이봄선 개구부의 이상, 마이봄선 분비물의 양상 | |||
* 속눈썹 : 방향 이상, 위치 이상, 가피 형성, 포도구균성 눈꺼풀염 | |||
마이봄선 분비물의 양상 | * 결막 : 충혈, 부종, 각질화, 유두, 여포, 검열반, [[결막 이완증]] | ||
* 각막 : 침윤, 흉터, 점상 염색, 궤양, 혈관화, 판누스, 군날개 | |||
의 이상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눈물막에서는 실모양체, 점액, 거품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 각막 지각 검사도 모든 환자에서 필요하다. 상당수의 경도 혹은 중등도 건성안 환자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만으로는 불충분하여 진단과 단계를 나누는 데 다른 검사가 필요하다. | |||
=== 진단적 검사 === | |||
== 치료 == | == 치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