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b>섬모체 광응고술 (cyclophotocoagulation; CPC)</b> 은 섬모체 돌기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섬모체를 파괴시켜 방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사용되는 레이저 광선의 종류에는 아르곤, Nd:YAG, diode 레이저 등이 있다. | <b>섬모체 광응고술 (cyclophotocoagulation; CPC)</b> 은 섬모체 돌기에 레이저 광선을 조사하여 섬모체를 파괴시켜 방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사용되는 레이저 광선의 종류에는 아르곤, Nd:YAG, diode 레이저 등이 있다. 최근에는 안구 손상이 적고 시술 시간이 짧으며, 시술 방법이 비교적 쉬운 레이저, 초음파와 극초단파를 이용한 섬모체 파괴술이 소개되고 있다. | ||
== 역사 == | == 역사 == | ||
1933년 Weve에 의해 처음 소개되고 1936년 Vogt에 의해 대중화된 섬모체 열치료술은 공막 괴사와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 후 Bietti는 섬모체 냉동술을 소개했는데 이 방법도 시술 후의 심한 통증과 염증, 예기치 못한 시력 상실, 유리체 출혈, 전안부의 허혈, 황반 부종, 만성 저안압, 안구 위축 등의 합병증이 발생되기 때문에 마지막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 1933년 Weve에 의해 처음 소개되고 1936년 Vogt에 의해 대중화된 섬모체 열치료술은 공막 괴사와 출혈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그 후 Bietti는 섬모체 냉동술을 소개했는데 이 방법도 시술 후의 심한 통증과 염증, 예기치 못한 시력 상실, 유리체 출혈, 전안부의 허혈, 황반 부종, 만성 저안압, 안구 위축 등의 합병증이 발생되기 때문에 마지막 치료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 ||
== 분류 == | == 분류 == | ||
*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TSCPC;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 * [[공막 경유 섬모체 광응고술]] (TSCPC; transscleral cyclophotocoagu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