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 (→효과)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 효과 == | == 효과 == | ||
치료 성적은 보고에 따라 다른데 치료에 실패하는 것은 관찰 가능한 섬모체 돌기 수와 레이저 조사한 섬모체 돌기의 수, 레이저 조사의 강도와 관계 있는 것 같은데 이런 변수와 안압 하강 정도가 언제나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또다른 요소는 전방각경으로 관찰되는 섬모체 돌기의 각도인데 공막을 누르더라도 ciliary ridge의 앞쪽 끝만 보이는 경우에는 섬모체 돌기를 완전히 파괴할 수 없다. | 치료 성적은 보고에 따라 다른데 치료에 실패하는 것은 관찰 가능한 섬모체 돌기 수와 레이저 조사한 섬모체 돌기의 수, 레이저 조사의 강도와 관계 있는 것 같은데 이런 변수와 안압 하강 정도가 언제나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또다른 요소는 전방각경으로 관찰되는 섬모체 돌기의 각도인데 공막을 누르더라도 ciliary ridge의 앞쪽 끝만 보이는 경우에는 섬모체 돌기를 완전히 파괴할 수 없다. | ||
국내에 보고된 바에 따르면 여러 가지 치료에도 불구하고 안압이 조절되지 않은 3명의 환자에서 아르곤 레이저로 노출 시간 0.2~0.5초, 응고반 크기 200 또는 500 ㎛, 에너지량 400~1,300 mW 로 하여 섬모체 돌기에 그 반응이 희고 둥근 응고반에 둘러 쌓여진 검은 함몰 부위가 생기도록 조절한 후 한 번 시행 시 180˚의 섬모체를 광응고 하였고 안압 하강 정도에 따라 나머지 180˚와 추가적인 광응고술을 한 결과 1주까지는 전 예에서 안압이 하강하였으나 그 후 서서히 안압이 상승하였으며 한 환자에서는 3번째 시술 후 약 13주에 안압이 약물 치료 없이 20 mmHg 정도로 안정되었고 또 한 환자는 최대한의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안압이 60 mmHg 에 안통을 호소하던 환자로 시술 후에는 안압 하강제 경구 투여 없이 안압이 40 mmHg 로 유지되고 안통도 호소하지 않았으나 나머지 한 환자는 8주까지의 관찰 기간 동안 의미있는 안압 하강이 없었다고 한다. | |||
그러나 시술한 4명 중 1명만이 효과가 있었고 그것도 일시적 효과에 불과하다고 보고하였고, Shields 등도 22.3% 라는 낮은 성공율과 안압 하강 효과가 불안정하다고 하였다. 이 시술에서 안압이 하강되지 않는 이유는 이 시술이 섬모체 후반부를 광응고시킬 수 없고 광응고된 상피세포가 재생되기 때문이라고 하며 광응고된 모양 돌기의 범위가 적을 경우와 광응고를 충분히 시키지 못한 경우라고 한다. | |||
== 합병증 == | == 합병증 == | ||
망막 박리를 보고한 경우도 있으나, 일시적인 각막 진무름, 경한 홍채섬모체염, 출혈, 일시적인 안압 상승과 경한 염증이다. | 망막 박리를 보고한 경우도 있으나, 일시적인 각막 진무름, 경한 홍채섬모체염, 출혈, 일시적인 안압 상승과 경한 염증이다. | ||
{{참고|녹내장}} | {{참고|녹내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