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편집 요약 없음 |
잔글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Vogt-Koyanagi-Harada disease; Harada disease; VKH)'''{{망막}} 은 눈 뿐 아니라 귀, 피부 및 뇌막을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일반적으로 양측성 육아성 전체 포도막염으로 나타난다<ref>Moorthy RS et al. VKH syndrome. ''Surv Ophthalmol''. 1995 Jan-Feb;39(4):265-92. [https://pubmed.ncbi.nlm.nih.gov/7725227/ 연결]</ref>. 1906년 Alfred Vogt가 탈모, 두발과 눈썹의 백모증과 피부 백반 그리고 청각 장애를 동반한 양안의 만성 포도막염 환자 1예를 보고하였으며 1929년 Koyanagi는 유사한 6명의 환자를 보고하였다. 이와 별도로 1926년 Harada는 삼출 망막 박리와 뇌척수액의 세포 증가를 보이는 5예를 보고하였는데, 그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이 두 질병이 동일한 것이며 단지 주병변의 위치 및 증상의 경중에 따른 차이인 것으로 밝혀져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이라 이름이 붙었다. 국내에서는 1965년 처음 보고가 있었다. 포도뇌막염 또는 포도뇌막염 증후군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2001년 국제 워크숍에 의해 용어를 통일할 것을 권한다. |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Vogt-Koyanagi-Harada disease; Harada disease; VKH)'''{{망막}} 은 눈 뿐 아니라 귀, 피부 및 뇌막을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일반적으로 양측성 육아성 전체 포도막염으로 나타난다<ref>Moorthy RS et al. VKH syndrome. ''Surv Ophthalmol''. 1995 Jan-Feb;39(4):265-92. [https://pubmed.ncbi.nlm.nih.gov/7725227/ 연결]</ref>. | ||
== 역사 == | |||
1906년 Alfred Vogt가 탈모, 두발과 눈썹의 백모증과 피부 백반 그리고 청각 장애를 동반한 양안의 만성 포도막염 환자 1예를 보고하였으며 1929년 Koyanagi는 유사한 6명의 환자를 보고하였다. 이와 별도로 1926년 Harada는 삼출 망막 박리와 뇌척수액의 세포 증가를 보이는 5예를 보고하였는데, 그 후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이 두 질병이 동일한 것이며 단지 주병변의 위치 및 증상의 경중에 따른 차이인 것으로 밝혀져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이라 이름이 붙었다. 국내에서는 1965년 처음 보고가 있었다. 포도뇌막염 또는 포도뇌막염 증후군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2001년 국제 워크숍에 의해 용어를 통일할 것을 권한다. | |||
== 역학 == | == 역학 == | ||
비록 전세계적으로 보고되지만 유병률에 차이가 있어 백인에게는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색소가 많은 민족에서 상대적으로 흔하다</span>.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국가,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빈도가 높다. 10대에서 40대에 높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7세 소아에서도 발생이 보고되었다. | 비록 전세계적으로 보고되지만 유병률에 차이가 있어 백인에게는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색소가 많은 민족에서 상대적으로 흔하다</span>.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국가,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빈도가 높다. 10대에서 40대에 높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7세 소아에서도 발생이 보고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