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체 황반 견인 증후군: 두 판 사이의 차이

1 바이트 추가됨 ,  2020년 3월 14일 (토)
잔글
잔글편집 요약 없음
14번째 줄: 14번째 줄:
망막앞막 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검사했을 때 섬유아교 조직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특발성 망막앞막 조직에서 잘 나타나는 망막 색소상피 세포는 드물었으며 이는 병리적 기전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전자현미경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 두꺼워진 내경계막, 성상세포, 그리고 근섬유 세포가 관찰되어 이와 같은 소견은 더 단단한 유리체-망막 유착을 암시하며 수술 중에 망막앞막 조직을 제거한 뒤 나타나는 점상 출혈을 임상적으로 설명해준다.
망막앞막 조직을 전자현미경으로 검사했을 때 섬유아교 조직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특발성 망막앞막 조직에서 잘 나타나는 망막 색소상피 세포는 드물었으며 이는 병리적 기전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전자현미경 및 면역조직화학 검사에서 두꺼워진 내경계막, 성상세포, 그리고 근섬유 세포가 관찰되어 이와 같은 소견은 더 단단한 유리체-망막 유착을 암시하며 수술 중에 망막앞막 조직을 제거한 뒤 나타나는 점상 출혈을 임상적으로 설명해준다.
== 검사 및 진단 ==
== 검사 및 진단 ==
- FA : 침범된 후극부의 혈관에서의 형광 누출과 가끔 시신경에서의 염색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진단에 보조적인 도움을 준다.
* FA : 침범된 후극부의 혈관에서의 형광 누출과 가끔 시신경에서의 염색이 나타날 수 있으며 진단에 보조적인 도움을 준다.
* B-scan : 주변부 망막에는 뒤유리체가 박리되어 있고 후극부에는 유리체가 부착되어 있어 앞뒤방향으로 견인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특발성 망막앞막은 완전하게 분리되고 유동성 있는 뒤유리체면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B-scan : 주변부 망막에는 뒤유리체가 박리되어 있고 후극부에는 유리체가 부착되어 있어 앞뒤방향으로 견인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특발성 망막앞막은 완전하게 분리되고 유동성 있는 뒤유리체면이 존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 OCT : 특징적인 유리체 황반 부착과 견인 상태를 해부학적으로 상세히 보여주므로 진단을 확진하고 또 경과 관찰에도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황반부에 융기된 견인, 중심와 주위의 유리체 박리, 두꺼워진 고반사의 뒤유리체, 황반부에 견인성 낭포 형성, 때로는 황반 박리도 보인다.
* OCT : 특징적인 유리체 황반 부착과 견인 상태를 해부학적으로 상세히 보여주므로 진단을 확진하고 또 경과 관찰에도 가장 중요한 검사이다. 황반부에 융기된 견인, 중심와 주위의 유리체 박리, 두꺼워진 고반사의 뒤유리체, 황반부에 견인성 낭포 형성, 때로는 황반 박리도 보인다.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 특발성 [[망막전막]] : 혼동될 수 있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하지만 망막앞막에서는 보통 Weiss' ring이 존재하며 이는 완전 [[후유리체 박리]]가 동반됨을 의미한다.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은 망막앞막과 지속적인 유리체 황반 유착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특발성 망막앞막과는 구별된다.
- 특발성 [[망막전막]] : 혼동될 수 있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하지만 망막앞막에서는 보통 Weiss' ring이 존재하며 이는 완전 [[후유리체 박리]]가 동반됨을 의미한다. 유리체-황반 견인 증후군은 망막앞막과 지속적인 유리체 황반 유착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특발성 망막앞막과는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