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예후 및 합병증) |
잔글 (→역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Vogt-Koyanagi-Harada disease; Harada disease; VKH)'''{{망막}} 은 눈 뿐 아니라 귀, 피부 및 뇌막을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일반적으로 양측성 육아성 전체 포도막염으로 나타난다<ref>Moorthy RS et al. VKH syndrome. ''Surv Ophthalmol''. 1995 Jan-Feb;39(4):265-92. [https://pubmed.ncbi.nlm.nih.gov/7725227/ 연결]</ref>. |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병 (Vogt-Koyanagi-Harada disease; Harada disease; VKH)'''{{망막}} 은 눈 뿐 아니라 귀, 피부 및 뇌막을 침범하는 질환으로서, 일반적으로 양측성 육아성 전체 포도막염으로 나타난다<ref>Moorthy RS et al. VKH syndrome. ''Surv Ophthalmol''. 1995 Jan-Feb;39(4):265-92. [https://pubmed.ncbi.nlm.nih.gov/7725227/ 연결]</ref>. | ||
== 역사 == | == 역사 == | ||
안구 염증과 연관된 백모증은 1906년에 Vogt<ref>Vogt A. Friihzeitiges ergrauen der zilien und bemerkungen uber den sogenannten plotzlichen eintritt dieserveranderung. ''Klim Monatsbl Augenheilkd'' 1906;44:228-42.</ref>에 의해 보고되었으며, 1926년 Harada<ref>Harada E. Beitrag zur klinischen kenntnis von nichteitriger choroiditis (chroiditis diffusa acuta). ''Acta Soc Ophthalmol Jpn'' 1926;30:356-78.</ref>는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과 동반된 삼출 망막박리를 가진 후포도막염 환자를 기술하였다. 이후 1929년 Koyanagi<ref>Koyanagi Y. Dysakusis, alopecia und poliosis bei schwerter uveitis nichttraumatischen ursprungs. ''Klin Monatsbl Augen heilkd'' 1929;82:194-211.</ref>는 양측성 만성 홍채섬모체염(iridocyclitis), 피부의 반점형 탈색소, 반점형 모발 손실과 모발 탈색, 특히 속눈썹부위의 탈색증을 가진 6명의 환자들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소견들은 백모증, 백반증, 탈모 및 청각 이상을 동반한 포도막염으로 명명되었다가 후에 여러 학자들이 보그트 (Vogt), 고야나기 (Koyanagi) 및 하라다 (Harada) 가 발견한 소견들을 통합하고 이런 과정들은 동일한 질병의 연속된 상태를 나타낸다고 제안하였고<ref>Snyder DA et al. Vogt-Koyanagi-Harada syndrome. ''AJO''. 1980 Jul;90(1):69-75. [https://pubmed.ncbi.nlm.nih.gov/7190360/ 연결]</ref>, 그 후로 보그트-고야나기-하라다 증후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
== 역학 == | == 역학 == | ||
비록 전세계적으로 보고되지만 유병률에 차이가 있어 백인에게는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색소가 많은 민족에서 상대적으로 흔하다</span>.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국가,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빈도가 높다. 10대에서 40대에 높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7세 소아에서도 발생이 보고되었다. | 비록 전세계적으로 보고되지만 유병률에 차이가 있어 백인에게는 드물고 <span style='color:blue;'>색소가 많은 민족에서 상대적으로 흔하다</span>. 한국을 비롯한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와 지중해 연안 국가,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에서 빈도가 높다. 10대에서 40대에 높은 빈도로 발생하지만 7세 소아에서도 발생이 보고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