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656
번
잔글 (→완전형) |
잔글 (→역학)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역학 == | == 역학 == | ||
발병률은 다양하게 나타나는데, 미국에서는 모든 의뢰된 포도막염 환자의 1~4% 정도이며, 일본에서는 6.7%에 이른다<ref>Goto H et al. Epidemiological survey of intraocular inflammation in Japan. ''Jpn J Ophthalmol''. 2007 Jan-Feb;51(1):41-4. [https://pubmed.ncbi.nlm.nih.gov/17295139/ 연결]</ref>. 아시아인, 히스패닉계 인도인과 같은 피부색이 짙은 인종에 더 많이 발생하며. 대부분의 연구들이 남성보다 여 성에서 더 흔하게 발생한다고 보고하였으나 일본의 조사 에서는 여성에서 높은 발병률이 나타나지 않았다<ref>Shimizu K. Harada's, Behcet's, Vogt-Koyanagi syndromes : are they clinical entities? ''Trans Am Acad Ophthalmol Otolaryngol''. 1973 May-Jun;77(3):OP281-90. [https://pubmed.ncbi.nlm.nih.gov/4731490/ 연결]</ref>. 발생 연령은 주로 10대에서 40대 사이의 연령층이나, 소아에서의 발생도 보고되었다. | |||
== 원인 == | == 원인 == | ||
원인은 불명이나 HLA-DR4 및 DRB1*0405와의 연관성이 보고되어 있다. 색소세포에 대한 자가 면역 질환으로서 말초 혈액에 색소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CD4 및 CD8 세포가 증가되어 있다. interferon-γ와 IL-17의 발현 증가를 바탕으로 T helper 1 세포와 17 세포의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이 결과는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는 근거가 된다. | 원인은 불명이나 HLA-DR4 및 DRB1*0405와의 연관성이 보고되어 있다. 색소세포에 대한 자가 면역 질환으로서 말초 혈액에 색소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CD4 및 CD8 세포가 증가되어 있다. interferon-γ와 IL-17의 발현 증가를 바탕으로 T helper 1 세포와 17 세포의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이 결과는 면역 억제제를 사용하는 근거가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