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8
번
잔글 (→임상 소견)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 망막 신경섬유층 (RNFL) === | === 망막 신경섬유층 (RNFL) === | ||
Kang 등<ref>Kang S et al. Peripapillary RNFL and ONH characteristics in eyes with SIOD. ''J Glaucoma''. 2015 Apr-May;24(4):306-10. [https://pubmed.ncbi.nlm.nih.gov/24048184/ 연결]</ref>은 시신경유두 좌우 뒤바뀜이 있는 12안의 RNFL 분포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표한 바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IOD가 있는 군에서 코쪽이 더 두껍고, 귀쪽이 더 얇은 경향을 보였으며, 위, 아래 신경섬유층의 가장 두꺼운 지점 또한 더 코쪽으로 이동한 양상을 보고한 바 있다. 이는 혈관 주행과 마찬가지로, SIOD군에서 망막신경섬유의 주행 또한 시신경유두의 코쪽으로 시작하여 귀쪽으로 주행이 급격히 바뀌기 때문에 유두 주변 신경섬유층이 코쪽에서 상대적으로 더 밀집되어 있고, 귀쪽이 덜 밀집되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 Kang 등<ref>Kang S et al. Peripapillary RNFL and ONH characteristics in eyes with SIOD. ''J Glaucoma''. 2015 Apr-May;24(4):306-10. [https://pubmed.ncbi.nlm.nih.gov/24048184/ 연결]</ref>은 시신경유두 좌우 뒤바뀜이 있는 12안의 RNFL 분포를 대조군과 비교하여 발표한 바 있는데, 본 연구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SIOD가 있는 군에서 코쪽이 더 두껍고, 귀쪽이 더 얇은 경향을 보였으며, 위, 아래 신경섬유층의 가장 두꺼운 지점 또한 더 코쪽으로 이동한 양상을 보고한 바 있다. 이는 혈관 주행과 마찬가지로, SIOD군에서 망막신경섬유의 주행 또한 시신경유두의 코쪽으로 시작하여 귀쪽으로 주행이 급격히 바뀌기 때문에 유두 주변 신경섬유층이 코쪽에서 상대적으로 더 밀집되어 있고, 귀쪽이 덜 밀집되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 ||
=== | === 황반 신경절세포-내망상층 (GC-IPL) === | ||
황반부 GC-IPL 의 경우 상이측, 하이측, 최소값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상측, 상비측, 하비측, 하측 영역에서는 뒤바뀜군이 대조군보다 두꺼운 양상을 보였다. 이는 시신경유두 좌우 뒤바뀜이 있는 눈에서 유두 주변의 RNFL 뿐만 아니라 황반부의 GC-IPL의 분포도 정상안과 다르다는 점을 시사한다. 즉 RNFL과 마찬가지로 정상안에 비해서 코쪽으로 더 밀집하게 분포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
반면, 상이측과 하이측 및 최소 GC-IPL 두께는 정상안과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녹내장에서 관찰되는 황반부 GC-IPL의 변화가 상이측과 하이측에서 먼저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최소 신경절세포 두께가 높은 녹내장 진단 | |||
력을 가진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SIOD가 있는 눈에서 초기 녹내장 진단 시에는 유두 주변의 RNFL보다 황반부 GC-IPL 두께 분석이 더 유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
{{참고}} |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