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영양 요인) |
잔글 (→영양 요인) |
||
27번째 줄: | 27번째 줄: | ||
=== 유전적 요인 === | === 유전적 요인 === | ||
인종적인 차이와 더불어서 최근에는 특정 유전자의 개인간 차이가 질병의 발병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 지고 있다.19 대표적인 것이 complement factor H (CFH) 의 단일 염기 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이며, 이는 백인에서 2~10배 이상의 발병률 차01를 보여 준다.20-24 이외에도 complement factor B (CFB), complement component 2 (C2), complement component 3 (C3), age-related maculopathy susceptibility 2 (ARMS2) 등 다양한 유전자의 다형성이 AM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인종적인 차이와 더불어서 최근에는 특정 유전자의 개인간 차이가 질병의 발병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 지고 있다.19 대표적인 것이 complement factor H (CFH) 의 단일 염기 다형성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이며, 이는 백인에서 2~10배 이상의 발병률 차01를 보여 준다.20-24 이외에도 complement factor B (CFB), complement component 2 (C2), complement component 3 (C3), age-related maculopathy susceptibility 2 (ARMS2) 등 다양한 유전자의 다형성이 AM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 비만 === | |||
비만과 황반변성은 어느 정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질량 지수가 25 이상인 사람은 25 미만인 사람에 비해 AMD의 진행 비교위험도가 약 2.3배 높았다. 이와 비슷하게 허리 둘레가 큰 사람이 작은 사람에 비해 약 2배 정도 위 험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전체적으로 비만이 AMD의 진행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
=== 영양 요인 === | === 영양 요인 === | ||
AREDS 에서 항산화제와 아연 섭취는 황반변성의 진행 위험을 낮추고 시력 소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ref>Cho E et al. Prospective study of intake of fruits, vegetables, vitamins, and carotenoids and risk of AMD. ''Arch Ophthalmol''. 2004 Jun;122(6):883-92. [https://pubmed.ncbi.nlm.nih.gov/15197064/ 연결]</ref>.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이나 야채 섭취는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도를 줄여 주었다<ref>AREDS Research Group. The relationship of dietary carotenoid and vitamin A, E, and C intake with AMD in a case-control study: AREDS Report No. 22. ''Arch Ophthalmol''. 2007 Sep;125(9):1225-32. [https://pubmed.ncbi.nlm.nih.gov/17846363/ 연결]</ref>. 몇몇 연구에서는 카로테노이드인 루테인과 제아잔틴을 함유한 음식의 섭취가 많거나 혈중 농도가 높으면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을 줄여 준다고 하였다<ref>Lundström M et al. Cataract surgery and QoL in patients with AMD. ''BJO''. 2002 Dec;86(12):1330-5. [https://pubmed.ncbi.nlm.nih.gov/12446358/ 연결]</ref>. | AREDS 에서 항산화제와 아연 섭취는 황반변성의 진행 위험을 낮추고 시력 소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ref>Cho E et al. Prospective study of intake of fruits, vegetables, vitamins, and carotenoids and risk of AMD. ''Arch Ophthalmol''. 2004 Jun;122(6):883-92. [https://pubmed.ncbi.nlm.nih.gov/15197064/ 연결]</ref>.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이나 야채 섭취는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도를 줄여 주었다<ref>AREDS Research Group. The relationship of dietary carotenoid and vitamin A, E, and C intake with AMD in a case-control study: AREDS Report No. 22. ''Arch Ophthalmol''. 2007 Sep;125(9):1225-32. [https://pubmed.ncbi.nlm.nih.gov/17846363/ 연결]</ref>. 몇몇 연구에서는 카로테노이드인 루테인과 제아잔틴을 함유한 음식의 섭취가 많거나 혈중 농도가 높으면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을 줄여 준다고 하였다<ref>Lundström M et al. Cataract surgery and QoL in patients with AMD. ''BJO''. 2002 Dec;86(12):1330-5. [https://pubmed.ncbi.nlm.nih.gov/12446358/ 연결]</ref>. | ||
=== 심혈관 및 전신적 질환 === | === 심혈관 및 전신적 질환 === | ||
여러 연구에서 조금씩 다른 결과들을 보이기는 했지만 혈중 콜레스테롤은 삼출성 AM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당뇨 및 혈압은 대부분 연관성을 찾지 못했다<ref>Seddon JM et al. The epidemiology of AMD. ''Int Ophthalmol Clin''. 2004 Fall;44(4):17-39. [https://pubmed.ncbi.nlm.nih.gov/15577562/ 연결]</ref>. 우리나라의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결과에서는 혈중 HDL의 농도가 초기 AMD와 관련이 있음을 보였으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다. 혈관의 죽상경화 병변은 후기 AMD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심혈관 질환과의 상관성을 찾지 못한 연구들도 다수 있어 그 연관성에 대하여 단언하기는 여렵다. 일부 연구에서 항고혈압제, 특히 베타 차단제 복용과 초기 AMD 발생의 위험 증가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으며<ref>Hyman L et al. HTN, CV disease, and AMD. AMD Risk Factors Study Group. ''Arch Ophthalmol''. 2000 Mar;118(3):351-8. [https://pubmed.ncbi.nlm.nih.gov/10721957/ 연결]</ref> 스타틴 복용이 AMD 발생에 보호 요인으로 작용을 할 수 있음도 보여 주었다<ref>Gehlbach P et al. Statins for AMD.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6 Aug 4;2016(8):CD006927. [https://pubmed.ncbi.nlm.nih.gov/27490232/ 연결]</ref>. | 여러 연구에서 조금씩 다른 결과들을 보이기는 했지만 혈중 콜레스테롤은 삼출성 AM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당뇨 및 혈압은 대부분 연관성을 찾지 못했다<ref>Seddon JM et al. The epidemiology of AMD. ''Int Ophthalmol Clin''. 2004 Fall;44(4):17-39. [https://pubmed.ncbi.nlm.nih.gov/15577562/ 연결]</ref>. 우리나라의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결과에서는 혈중 HDL의 농도가 초기 AMD와 관련이 있음을 보였으나 다른 연구들에서는 일치된 결과를 나타내지는 못하고 있다. 혈관의 죽상경화 병변은 후기 AMD의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만 심혈관 질환과의 상관성을 찾지 못한 연구들도 다수 있어 그 연관성에 대하여 단언하기는 여렵다. 일부 연구에서 항고혈압제, 특히 베타 차단제 복용과 초기 AMD 발생의 위험 증가 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으며<ref>Hyman L et al. HTN, CV disease, and AMD. AMD Risk Factors Study Group. ''Arch Ophthalmol''. 2000 Mar;118(3):351-8. [https://pubmed.ncbi.nlm.nih.gov/10721957/ 연결]</ref> 스타틴 복용이 AMD 발생에 보호 요인으로 작용을 할 수 있음도 보여 주었다<ref>Gehlbach P et al. Statins for AMD.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6 Aug 4;2016(8):CD006927. [https://pubmed.ncbi.nlm.nih.gov/27490232/ 연결]</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