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모양 위축: 두 판 사이의 차이

915 바이트 추가됨 ,  2021년 10월 5일 (화)
잔글
잔글 (→‎종류)
13번째 줄: 13번째 줄: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연관되어 있으며, 정확한 병태생리는 밝혀져 있지 않다. CFH variant Y402H 그리고 ARMS2 유전자가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1Q_11 산화 스트레스,염증 반응, 보체 반응도 병태생리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6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연관되어 있으며, 정확한 병태생리는 밝혀져 있지 않다. CFH variant Y402H 그리고 ARMS2 유전자가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1Q_11 산화 스트레스,염증 반응, 보체 반응도 병태생리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6


== 검사 및 진단 ==
== 진단 ==
* FA : 소실되거나 위축된 망막 색소상피를 통해 배경 맥락막 형광이 쉽게 투과되어 <span style='color:blue;'>초기부터 밝은 과형광</span>을 나타내며, 흔히 이 부분을 지나는 맥락막 혈관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촬영 후기에는 과형광 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지속되기도 한다.
* 안저 : 황반부에 경계가 명확한 색소가 상실되고 맥락막 혈관이 비쳐보이는 병변을 확인할 수 있다.
* [[안저 자가 형광]] : 경계가 명확하고, 저형광을 보이는 부분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망막 색소상피의 소실과 함께 lipofuscin 축적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형광
* AF : 경계가 명확하고, 저형광을 보이는 부분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RPE의 소실과 함께 지방 갈색소 축적이 없지 때문이다. 이러한 저을광으로 나타나는 부위 주변은 그 주위 GA가 없는 부위의 자가 형광과 대비가 잘되기 때문에, 이러한 진행 여부를 관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위축이 있는 부위와 없는 부위의 경계 부위에서는 다양한 패턴의 고형광으로 관찰되는데, 기존의 위축이 커지면서 새로운 위축이 생기는 부분은 이러한 자가 형광이 증가한 부위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증가된 자가 형광의 존재와 패턴은 AMD에서 GA의 진행에 대한 예후를 알게 해준다.17-19
* FA : 소실되거나 위축된 RPE를 통해 배경 맥락막 형광이 쉽게 투과되어 초기부터 밝은 과형광을 나타내며, 흔히 이 부분을 지나는 맥락막 혈관들이 같이 보이게 된다. 촬영 후기에는 과형광 정도가 약해질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지속되기도 한다.
* OCT : [[외경계막]],내절-외절 경계, RPE와 브루크막 복합체 등의 구조가 없는 것이 관찰된다. OCT는 위축 부위를 층별로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안저 검사나 AF보다 조기에 위축을 발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 치료 ==
== 치료 ==
치료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현재까지 확립된 내과적, 외과적 치료는 없다.
치료하거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현재까지 확립된 내과적, 외과적 치료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