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13,127
번
잔글 (→유전적 요인) |
잔글 (→영양 요인) |
||
38번째 줄: | 38번째 줄: | ||
=== 영양 요인 === | === 영양 요인 === | ||
AREDS 에서 항산화제와 아연 섭취는 황반변성의 진행 위험을 낮추고 시력 소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ref>Cho E et al. Prospective study of intake of fruits, vegetables, vitamins, and carotenoids and risk of AMD. ''Arch Ophthalmol''. 2004 Jun;122(6):883-92. [https://pubmed.ncbi.nlm.nih.gov/15197064/ 연결]</ref>.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이나 야채 섭취는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도를 줄여 주었다<ref>AREDS Research Group. The relationship of dietary carotenoid and vitamin A, E, and C intake with AMD in a case-control study: AREDS Report No. 22. ''Arch Ophthalmol''. 2007 Sep;125(9):1225-32. [https://pubmed.ncbi.nlm.nih.gov/17846363/ 연결]</ref>. 몇몇 연구에서는 카로테노이드인 루테인과 제아잔틴을 함유한 음식의 섭취가 많거나 혈중 농도가 높으면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을 줄여 준다고 하였다<ref>Lundström M et al. Cataract surgery and QoL in patients with AMD. ''BJO''. 2002 Dec;86(12):1330-5. [https://pubmed.ncbi.nlm.nih.gov/12446358/ 연결]</ref>. | AREDS 에서 항산화제와 아연 섭취는 황반변성의 진행 위험을 낮추고 시력 소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ref>Cho E et al. Prospective study of intake of fruits, vegetables, vitamins, and carotenoids and risk of AMD. ''Arch Ophthalmol''. 2004 Jun;122(6):883-92. [https://pubmed.ncbi.nlm.nih.gov/15197064/ 연결]</ref>.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이나 야채 섭취는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도를 줄여 주었다<ref>AREDS Research Group. The relationship of dietary carotenoid and vitamin A, E, and C intake with AMD in a case-control study: AREDS Report No. 22. ''Arch Ophthalmol''. 2007 Sep;125(9):1225-32. [https://pubmed.ncbi.nlm.nih.gov/17846363/ 연결]</ref>. 몇몇 연구에서는 카로테노이드인 루테인과 제아잔틴을 함유한 음식의 섭취가 많거나 혈중 농도가 높으면 삼출성 황반변성 위험을 줄여 준다고 하였다<ref>Lundström M et al. Cataract surgery and QoL in patients with AMD. ''BJO''. 2002 Dec;86(12):1330-5. [https://pubmed.ncbi.nlm.nih.gov/12446358/ 연결]</ref>. | ||
=== 안과적 요인 === | |||
여러 실험군-대조군 연구에서 AMD와 원시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 기반의 Rotterdam Study 에서도 원시와 AMD의 발병률과 유병률 사이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내장과의 관련성에 대한 자료들은 일정하지 않지만 백내장 수술의 과거력은 진행된 형태의 AMD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양안에 초기 AMD가 있는 환자에서 한쪽만 백내장 수술을 받은 경우 AMD가 수술한 눈에서 반대쪽 눈보다 더 진행한다는 연구도 있다. BDES 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전에 백내장 수술을 받은 과거력은 AMD 진행의 위험도를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기 AMD로 발전하는 위험도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ref>RFs for wAMD. The Eye Disease Case-Control Study Group. ''Arch Ophthalmol''. 1992 Dec;110(12):1701-8. [https://pubmed.ncbi.nlm.nih.gov/1281403/ 연결]</ref>.37-38 | |||
=== 심혈관 및 전신적 질환 === | === 심혈관 및 전신적 질환 === |